인천시, 차세대 순환경제형 LED산업 전환…키엘연구원, 인천대와 협약

image
인천시는 6일 인천시청 신관 미래산업국장실에서 키엘연구원, 인천대학교와 함께 차세대 순환경제형 발광다이오드(LED) 산업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시 제공

 

인천시는 6일 키엘연구원, 인천대학교와 함께 차세대 순환경제형 발광다이오드(LED) 산업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이번 협약은 ‘인천시 에너지 기본조례’에 따라 지역 에너지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경제·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했다. 협약의 주 내용은 국내 유일의 조명 연구기관인 키엘연구원의 순환자원재제조센터 인천 유치와 LED 조명산업의 순환경제형 디지털 산업 전환을 추진하는 것이다.

 

해외 LED 조명산업은 에너지 절감, 스마트시티 구축, 건강과 웰빙에 대한 수요 증가로 연평균 20.5%씩 성장하고 있다. 오는 2030년에는 25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시장 역시 지난 2022년 약 2조2천억원에서 2027년 약 4조원 규모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으로의 수출 또한 늘어나고 있지만, 글로벌 선진기업의 고품질·융합 서비스 전략과 중국의 저가 공세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8월 기준 전국의 조명기업은 모두 6천428곳이며 60%가 수도권에 집중해 있다. 인천에는 543개의 조명기업이 있다. 시는 이번 키엘연구원 순환자원재제조센터 유치와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수도권 광융합 클러스터 요충지로서 지역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목표다. 또 지역 기업의 글로벌 시장 선점, 저탄소 에코설계 기술 지원, 순환형 신산업 생태계 구축을 통해 조명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계획이다.

 

유제범 시 미래산업국장은 “키엘연구원, 인천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인천의 산업 발전과 경제적 가치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