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임금·근무 환경 열악 ‘비선호’ 유연근무 활성화 등 대책 마련해야
인천지역 제조 기업들이 청년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현상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제조업체들은 청년 채용을 위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 육아 휴직 등을 대비한 대체 인력 지원 등을 위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9일 인천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인천의 제조업 종사자 수는 전체 근로자 122만3천448명 중 25만457명(20.4%)로 업종에서 가장 많다.
그러나 제조업은 대부분 임금이 낮고 업무 강도도 높아 청년층이 기피하고 있다. 더욱이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의 경우 근무 환경도 열악하다 보니 육아 휴직이나 유연근무제 등을 사용하기도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제조 기업들은 청년 인력을 구하지 못해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앞서 인천연구원이 지난 2020년 일자리 등을 분석한 결과, 인천의 제조 기업은 ‘청년층 구인의 어려움’을 가장 크게 체감하고 있다.
이날 인천상의에서 열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제1차 지역소멸 대응 포럼’에서 인천의 경제계는 정부와 지자체에 ‘청년인력 유입을 위한 정주환경 조성’과 ‘대체인력 확보 지원 확대’ 등을 건의했다.
경제계 관계자는 “기업의 가족친화문화가 지속가능하려면 수혜 대상인 젊은 직원이 일정 규모 일해야 한다”며 “하지만 현실적으로 젊은 직원을 채용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중소기업 대다수가 인력난을 겪는 만큼, 가족친화제도 정착을 위해서는 대체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지원제도가 필수”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주형환 저출산위 부위원장은 “기업은 일·가정 양립과 육아 친화적 인사·노무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직원들이 회사에서 눈치를 보지 않고 편히 육아할 수 있도록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를 활성화할 방안을 찾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인천시는 오는 2025년 일·생활균형지원센터를 설립, 육아·돌봄휴직 대체 인력을 지원하고 신혼부부 천원주택 등 인천형 주거정책을 펼칠 계획이다.
하병필 시 행정부시장은 “저출생과 청년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일·가정 양립을 중심으로 지원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