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은 학생 수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지역들이 공존하는 만큼 지역별 맞춤 학교 다양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30일 인천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인천지역 초·중학교 전체 학생 수는 2013년 25만8천694명에서 2023년 23만3천779명으로 2만4천915명 감소했다. 초등학생은 2013년 15만7천918명에서 2023년 15만5천703명으로 감소, 2천215명이 감소해 안정적인 추세를 보인 반면, 중학생 감소세는 뚜렷했다. 중학생은 같은 기간 10만776명에서 7만8천76명으로 감소, 학생 수가 22.53% 줄었다.
연구소 조사 결과, 군·구 별로 각각 학생 수 증가나 감소 폭이 달랐다. 서구, 연수구, 중구는 학생수가 증가했지만 나머지 군·구의 학생 수는 감소했다. 특히 계양구와 옹진군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계양구 초·중학교 학생 수는 2013년 3만1천864명에서 2023년 1만8천352명으로 감소한 반면, 연수구 초·중학교 학생 수는 2013년 3만858명에서 2023년 3만9천274으로 증가해 8천416명이 늘었다.
연구소는 이러한 결과를 원도심의 쇠퇴와 청라, 송도, 영종국제도시의 개발로 인한 인구 유입 결과로 분석했다.
문영진 인천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인천의 학생 증감추이를 강화·옹진군 등 도서지역 소규모학교 활성화, 남동·계양구 같은 도시지역의 학교 소규모화, 송도와 청라, 영종의 경우 처럼 신도시 지역 학교와 원도심의 학교 소규모화가 공존하는 경우로 나눴다. 문 연구위원은 이러한 지역적 특색에 맞춘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연구위원은 “도서지역은 지리적 여건 상 고립 학교가 많아 지역안의 강점을 활용해야 한다”며 “학생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해 학교 소멸이 우려되는 만큼 무학년제 및 진로 중심의 소규모 학급 구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처럼 도서지역의 지역 산업과 연계한 특색있는 교육과정 역시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도시지역의 학생 감소의 경우 문 연구위원은 “인구 감소로 많은 학교들이 소규모화하는 상황에 대비해 통합운영학교 및 학교 간 상생 방안이 필요하다”며 “특히 다양한 기업과 연계해 디지털 기반 교육환경을 만들어 교육 인프라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했다.
또 문 연구위원은 소규모학교와 과대과밀학교가 공존하는 지역은 양극화 해소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문 연구위원은 “이러한 양극화를 해결하려면 학교 재구조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1교 2캠퍼스형 학교 운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규모학교와 과대과밀학교의 균형 방향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권순형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센터 소장, 이태섭 인천남동초등학교 교장, 한상철 인천시교육청 학교설립과장 등 교육 전문가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에 토론회 좌장을 맡은 이용창 인천시의회 교육위원회 위원장은 “말씀해주신 방안들을 정무적으로 잘 풀어나갈 수 있도록 지자체 차원을 넘어 중앙과 협의하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