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역세권 철도부지 관리‧조정 미흡…복합개발 및 상부공간 등 종합계획 마련 시급

[인천시의회·인천의정네트워크 정책토론회]

image
29일 인천시의회와 인천의정네트워크가 함께 한 건설교통위원회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 하고 있다. 김지혜기자

 

인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역세권 개발의 성공을 위해서는 파편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개발사업과 철도부지 이용계획에 대한 관리와 조정에 나서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9일 인천시의회와 인천의정네트워크가 함께한 정책토론회에서 윤세형 인천도시공사(iH) 도시연구소장은 “현재의 개발 사업은 산발적으로 벌어지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경인국철 1호선 역세권 인근의 재개발·재건축 사업 역시 경인국철 지하화를 고려하지 않고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종합적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천에는 현재 경인국철 및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을 비롯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인천발 KTX 사업 등의 광역교통사업이 이뤄지고 있다. 여기에 동인천역 일대의 도시개발사업과 인천역 인근의 도시혁신구역 지정에 따른 복합개발, 제물포역 인근의 도시재생사업 등이 있다. 특히 인천시는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통해 중·동구 일대의 원도심 활성화를 꾀할 예정이다.

 

윤 소장은 “인천의 원도심은 전통적으로 동서남북으로 단절해 있는 만큼 동선의 활용과 공간의 이동이 쉽지 않다”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역세권 개발과 상부공간 활용 등이 원도심 활성화의 핵심 사업이다”고 짚었다.

 

이를 위해 “경인국철 1호선 지하화 사업 대상지 인근 토지의 효과적 활용이 필요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경인국철 인근은) 저층으로, 토지이용계획이 산발적으로 이뤄져 있는 데다 지구단위계획도 파편화해 있다”며 “이 같은 토지이용계획을 1개의 종합 관리 계획으로 묶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서울시의 연남동 일대 경의선 숲길을 만들 때에도 우후죽순 이뤄지고 있는 지구단위계획이나 토지이용계획을 정비하는 과정을 거쳤다”고 덧붙였다.

 

또 이날 정책토론회에서는 원도심의 활성화를 위해 생활권이 밀접한 역사를 중심으로 입체형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입체형 개발은 복합환승센터 등 상업 및 업무시설을 교통시설과 결합하는 방식이다.

 

황철승 인천교통공사 도시철도영업처 신사업개발팀장은 “부평역·석남역·주안역·인천시청역 등 생활권과 밀접하게 닿아 있는 역사들을 중심으로 복합환승센터 등을 짓는 등 입체형 개발을 시도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부동산 개발과 교통체계 혁신 2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환승센터는 막대한 사업비가 필요하므로 사업성을 확보하기 위한 충분한 공적 보조를 마련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