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덕적·자월도 해상국립공원 지정 ‘시동’

市, 관광 활성화 특화발전방안 마련... 사유재산권 침해 등 주민 반대 과제

옹진군 덕적면 덕적도 서포리 해변. 옹진군 제공
옹진군 덕적면 덕적도 서포리 해변. 옹진군 제공

 

인천시가 옹진군 덕적도와 자월도 일대를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등을 포함한 특화발전방안 마련에 나선다. 다만, 해상국립공원 지정에 대해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 등은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다.

 

30일 시에 따르면 내년에 덕적·자월군도 일대의 관광 산업 활성화를 위한 해상국립공원 지정 등을 포함한 관광 인프라 활용 방안을 검토, 덕적·자월군도 특화발전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시는 해상국립공원 지정 가능성과 의미를 살피고, 국립공원 지정 효과, 섬 교통 현황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시는 인천의 섬들이 수도권 시민들의 여가와 레저 활동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다, 한강~경인아라뱃길~덕적·자월군도의 뱃길도 이어질 것인 만큼 이 같은 관광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덕적·자월군도는 덕적도와 이작도, 자월도, 승봉도, 문갑도, 굴업도, 지도, 백야도 등 유인도와 2000년대 초반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을 받은 대이작도 풀등, 선미도, 선갑도, 사승봉도 등의 무인도로 구성해 있다. 시는 대청도와 소청도 일대를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 강화남단 갯벌 등을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 등재 등의 움직임이 있는 만큼 덕적·자월군도는 해상국립공원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그러나 시의 덕적·자월군도 관광 활성화를 위해선 해상국립공원 지정에 대한 주민 반대를 해결해야 한다. 앞서 시는 민선 6기 때 덕적·자월군도를 포함해 백령-대청권역 270㎢에 대한 해상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했지만, 주민들의 사유재산권 침해와 어업권 침해 우려 등 반대로 사실상 백지화했다.

 

이 때문에 시는 이번에 덕적·자월군도를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것과 연계, 주민 일자리와 소득 창출 방안 등을 함께 검토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덕적·자월도군도가 육지와 56.6㎞나 멀리 떨어져 있는 만큼 전력과 수도 등의 인프라 확충도 과제로 남아있다. 남해 일대의 한려해상국립공원은 육지와 가까운 탓에 도로와 전기, 수도 등의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해 있다.

 

시 관계자는 “서울의 한강 뱃길 복원 프로젝트와 연계해 덕적·자월군도의 관광 자원을 연계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라며 “해상국립공원 지정과 함께 다양한 관광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특히 관련 용역을 통해 구체적인 주민 소득 증대 방안을 비롯한 인프라 확충 방안을 내부적으로 깊이 논의 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