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 "SK합작법인과 켄터키·테네시서 내년부터 배터리 생산"

image
미국 포드 로고. AP연합뉴스

 

전기차 생산 속도 조절에 나선 자동차 제조사 포드가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과 협력,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을 늘리고 생산 시작 시기도 앞당기기로 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포드는 21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당초 생산 일정을 연기했던 3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전기차 생산 계획을 취소하는 대신 전기차용 배터리의 미국 내 생산을 늘린다고 밝혔다.

 

또 생산 일정도 앞당기는 한편 순수 전기차 생산과 관련한 연간 자본지출 비중을 기존 40%에서 30%로 축소하기로 했다.

 

포드는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머스탱 마크-E 모델에 사용되는 일부 배터리 생산을 내년 폴란드 공장에서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으로 옮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구매 시 최대 7천500달러를 지원하는 세액공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다. 

 

포드는 국내 SK온과의 합작사인 블루오벌SK의 켄터키주 1공장에서 내년 중반부터 'E-트랜짓' 전기트럭과 'F-150 라이트닝' 전기 픽업트럭 배터리를 생산한다고 밝혔다. 애초 계획보다 앞당긴 것으로 상당한 비용 개선을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포드는 블루오벌SK의 테네시주 공장에서 2025년 말부터 포드의 신형 전기 상용밴을 위한 배터리 생산을 시작하기로 했다. 해당 배터리셀은 테네시주에 조성 중인 전기차 생산단지 '블루오벌 시티'에서 생산되는 차세대 전기차 트럭은 물론 향후 신기술 전기차에도 사용될 예정이다. 

 

지난 2021년 SK온과 포드는 서로 5조1천억원씩 총 10조2천억원을 투자,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를 설립한 뒤 배터리 공장을 테네시주에 1개, 켄터키주에 2개 건설하기로 했다. 이들 공장은 지난 2022년부터 건립 공사가 진행 중이다.

 

포드는 "시장이 진화하는 가운데 이런 공용 배터리셀 전략을 통해 복수의 차량 세그먼트 및 전기차 플랫폼 제조를 위한 유연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