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저가·물량 공세에... 인천기업 10곳 중 4곳, 매출 ‘직격탄’

인천상의 211곳 대상 조사... 39.3% ‘매출·수출 악영향’

인천상공회의소 전경. 인천상의 제공
인천상공회의소 전경. 인천상의 제공

 

인천지역의 기업 10곳 중 4곳이 중국 저가‧물량 공세에 판매가 하락 압박은 물론 거래 감소 등의 영향을 받고 있다.

 

8일 인천상공회의소의 인천의 기업 211곳을 대상으로 한 ‘중국 저가‧물량 공세가 인천지역 기업에 미치는 영향 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인천 기업의 39.3%는 최근 중국의 과잉공급과 저가상품 수출 확대로 인하여 ‘매출‧수출 등 실적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42.2%는 ‘현재 영향은 없으나 앞으로 피해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다. 반면 ‘영향이 적거나 없을 것’으로 전망하는 기업은 18.5%에 그친다.

 

이들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에 따른 영향은 ‘판매단가 하락 압박’이 34.8%, ‘내수시장 거래 감소’가 33%로 나타났다. 이어 ‘중국 외 해외시장 판매 부진’이 13.3%, ‘실적부진에 따른 사업축소‧중단’이 10.4%, ‘대중국 수출 감소’ 8.5% 등이다.

 

특히 인천 기업의 기술력 및 품질경쟁력은 중국 경쟁기업 대비 ‘격차가 축소’했다는 응답이 43.1%이며, ‘비슷한 수준까지 추격’했다는 응답이 28%에 이른다. ‘계속 우위에 있다’는 응답은 21.3%, ‘중국기업에 추월당해 열위에 있다’는 6.2%, ‘계속 열위에 있다’는 1.4%다.

 

중국 경쟁기업 대비 기술력 및 품질경쟁력 수준이 비슷하거나 우위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5년 이내에 중국에 추월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천 기업들은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에 ‘고부가 제품 개발 등 품질향상’(33.9%), ‘신규 수출시장 개척‧공략’(25.1%) 등의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인건비 등 비용절감’(15.4%), ‘현지생산 등 가격경쟁력 확보’(8.2%), ‘제품 다변화 등 시장저변 확대’(6.6%), 기타(1.3%) 등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응전략이 없다’는 응답도 9.7%를 차지했다.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를 강구하고 무역대상국 다변화 및 품질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인천지역 기업들은 중국 저가‧물량 공세 대응을 위하여 필요한 지원정책으로 ‘국내 산업 보호 조치 강구’(34.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신규시장 개척 지원’(24.7%) ‘연구개발(R&D) 지원 확대’(22.9%), ‘무역금융 지원 확대’(9.0%), ‘FTA 관세혜택 활용 지원’(5.4%), 기타(3.6%) 순으로 응답했다.

 

박주봉 인천상의 회장은 “최근 중국의 밀어내기 수출이 국내기업들의 수출여건 및 내수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제품의 기술‧품질 수준 또한 향상하면서 경쟁이 더 심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자금‧세제지원 등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국내외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하고, 신규 판로개척 및 연구개발 지원 확대로 중국 저가공세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