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행’ vs ‘중단’ 인천 노후 아파트 재개발... 주민 갈등 확산

국토부 1기신도시 선도지구 선정 밀려
통합재개발 두고 지역 곳곳서 대립
일각선 “재개발 중단, 지정 기다려야”
이에 대해 “불확실… 희망고문 될 것”

image
18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개동 부개주공3단지 앞에 인천의 1번째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대상지를 축하하는 현수막이 달려있다. 김지혜기자

 

18일 오전 10시께 인천 부평구 부개동 부개주공3단지 앞. 아파트 단지 입구에는 인천의 1번째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대상지를 축하하는 현수막이 나부끼고 있다. 이 단지는 지난해 7월 총 1천982가구의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 계획 승인 요청을 한 곳이다. 하지만 최근들어 주민들 사이에서 정부의 노후계획도시 지정을 기대하며 리모델링 사업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당초 계획대로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자는 주민들과, 사업을 중단하고 노후계획도시 지정을 기다리자는 의견이 엇갈리며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이 아파트 주민 A씨(54)는 “처음 리모델링 사업 추진 때는 찬성표를 던졌지만, 최근 반대로 의견을 바꿨다”고 말했다. 이어 “노후계획도시로 선정받으면 사업성이 좋아져 분담금이 줄어든다는데, 굳이 리모델링 사업을 서둘러 추진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차라리 기다렸다가 재건축을 했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남동구 만수동 만수주공1~6단지 통합재건축 사업 대상지도 상황은 마찬가지. 총 6천866가구 규모로 준공한 지 37년이 지난 아파트 단지인 이 곳은 1만가구 규모의 통합재건축 사업이 추진 중이다. 그러나 최근 이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늘어나면서 종전 재건축 찬성 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특히 최근 만수주공 1~6단지 통합재건축 설명회에서는 ‘노후계획도시 특별법’ 제정에 따른 사업 재검토를 요구하는 주민 집회가 이뤄지기도 했다. 주민 A씨(67)는 “통합재건축 사업을 서둘러 추진하기 보다 노후계획도시 지정을 기다려보는 것이 나을 듯 하다”고 했다.

 

반면, 통합재건축을 찬성하는 주민 B씨(66)는 “그동안 주민 동의를 받아 추진했고, 이미 정밀안전진단까지 통과했는데 이제와서 중단하자고 하면 어떻게 하느냐”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재건축 추진한다고 들어간 비용은 어떻게 하고, 노후계획도시 지정은 언제 이뤄질지도 모르는 채 마냥 기다리는 ‘희망고문’일 뿐”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가 ‘1기 신도시’ 위주의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선정을 계획하면서 인천지역의 노후 아파트들이 후순위로 밀린 가운데, 재개발 추진 아파트 단지 곳곳에서 주민 간 갈등이 확산하고 있다.

 

국토부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오는 11월 ‘1기 신도시’ 분당·일산·평촌·산본 등을 대상으로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를 지정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인천의 연수·구월·계산·부평·만수지구 등의 선도지구 지정이 사실상 후순위로 밀리는 것은 불가피하다. 인천의 노후계획도시 지정은 내년 말 이후에나 검토가 이뤄질 전망이다.

 

이로 인해 인천의 리모델링 및 재건축·재개발이 추진 중인 노후 아파트 단지들은 주민들 간 갈등을 빚고 있다. 노후계획도시 지정이 이뤄지면 용적률 혜택으로 인한 분담금 인하 및 지원금 등이 가능해 기대 심리를 가진 주민들은 현재 추진 중인 개발을 중단하길 바라고 있다. 반대로 현 개발을 지지하는 주민들은 이미 투입한 안전진단 같은 각종 사업비 등 매몰비용에 대한 부담과 노후계획도시 지정 등에 대한 불확실성을 내세우고 있다.

 

배웅규 중앙대학교 도시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노후계획도시 대상 아파트 단지 대부분이 이미 재개발 등의 절차를 밟고 있는 상황”이라며 “도시계획도시 선정이 늦어질 수록 주민 간 갈등만 심각해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자체에서 전문가 등을 섭외해 주민갈등이 심화하기 전에, 사전협의를 통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