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노후계획도시 정비 둘러싼 주민 갈등 ‘해결사’ 뜬다

인천시, 선도지구 지정 앞두고 ‘TF’ 추진… 사전 조율 중책
대규모 택지 개발 관련 관계기관 협의 ‘부작용 최소화’ 기대

image
인천 남동구 구월동 시청 본관.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지정을 위해 ‘노후계획도시정비 추진 태스크포스(TF)’를 마련한다. 시는 이를 통해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지정과 관련, 주민 갈등 요인을 사전에 조율하고 대규모 택지 개발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를 이끈다는 구상이다.

 

18일 시에 따르면 이달 안에 시 주거정비과와 인천시교육청, 인천도시공사(iH), 연수·계양·남동·부평구 등이 참여하는 ‘노후계획도시 정비 추진 TF’를 발족할 예정이다. 또 시는 이달부터 내년 연말까지 노후계획도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2035 인천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용역을 할 계획이다. 시는 용역을 통해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후보지역인 ‘특별정비구역’을 추려내는 등 노후계획도시 적용을 위한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시는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지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주민 갈등을 최소화 할 방법을 찾는다. 우선 시는 각 군·구 관계자들과 함께 종전 추진하고 있는 아파트 단지별 개발사업의 현황과 노후계획도시 선도지구 지정에 대한 적합성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여기에 대규모 택지 개발에 따른 상·하수도와 공원, 학교 등의 기반시설 개보수 등에 대해서도 검토할 방침이다.

 

특별법 대상지역에 노후계획도시와 인접·연접한 원도심을 포함시킨 만큼 포함 여부를 둘러싼 지역 간 갈등도 살핀다. 노후계획도시 대상 택지 포함에 대한 주민들 민원이 상당한 만큼, 인접·연접 지역을 동일 생활권과 연계 개발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시는 주민들의 정비사업 요구와 선도지구 우선 지정 등에 대한 민원이 증가하고 있어 기본계획 수립이 우선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대규모 택지 개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 하도록 용역을 통해 살피는 동시에 상시적인 소통 체계를 갖추려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서두르기 보다는 시간을 두고 주민 간 갈등 요인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