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해양포럼, ‘오늘의 바다, 미래의 해양’ 위한 뱃고동

대주제 및 세션별 주제 확정하고 발표자 공개

인천항만공사. IPA 제공
인천항만공사. IPA 제공

 

인천항만공사(IPA)는 6일 ‘2024 인천국제해양포럼’의 대주제를 ‘오늘의 바다, 미래의 해양’으로 확정하고 1일차 세션별 주제와 발표자를 공개했다.

 

오는 7월4일부터 5일까지 인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리는 ‘2024 인천국제해양포럼’은 다양한 분야의 해양 산업 관계자들을 초청해 글로벌 해양·항만 이슈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다.

 

정규 세션은 세션1-해운물류, 세션2-스마트항만, 세션3-항만에너지, 세션4-해양관광, 세션5-해양환경과 기후, 특별세션-2024 수출 중고자동차산업과 인천항 물동량 발전방안 세미나로 각각 구성한다.

 

1일차에는 세션1~3과 특별세션이, 2일차에는 세션4~5가 열리며 분야별 전문가들이 좌장으로 참여해 세션을 이끈다.

 

4일 오전 개회식에 이은 기조강연에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총.균.쇠’의 저자이자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지리학 교수인 재레드 다이아몬드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바다’에 대해 연설한다. 오후부터는 본격적인 정규 세션이 펼쳐진다.

 

첫날 오후 1시부터 메인홀에서 하는 세션1-해운물류에서는 송상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장이 좌장으로 참여해 ‘글로벌 공급망 불확시설 탐색’을 논의한다.

 

드류어리 싱가포르의 자옌두 크리슈나 해양자문 부국장은 ‘해운네트워크 확장’을, 프레이토스의 켈리 첸 전략공급 책임자는 ‘Freight forwarding 비즈니스의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세션2-스마트항만에서는 앤트워프대학교 하릴라오스 크리스토둘루 라프티스 연구원과 이훈 ㈜토탈소프트뱅크 연구소장,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수가 발표자로 이름을 올렸다.

 

김상기 IPA 운영부문 부사장은 “해양산업의 다양한 주제로 포럼을 구성한 만큼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미래의 해양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