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 2년 지체, 차질 불가피... 민간업체 계약·주민 수용성 ‘발목’ 섬 지역 환자 이송·관광사업 제동 “주민 설득 등 지연 최소화 힘쓸 것”
인천 송도국제도시와 덕적·자월도를 오갈 도심항공교통(UAM)의 상용화 시범 사업이 2년여 늦어지는 등 차질이 불가피하다. 이로 인해 내년 말로 계획한 섬 지역 긴급 환자 이송이나 강화도 등의 UAM 관광 사업 확대도 장기화할 전망이다.
5일 국토교통부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시는 국토부의 UAM 2단계 실증사업이 끝나면 곧바로 시범운용구역 지정 절차를 밟는 등 내년 하반기를 목표로 UAM 상용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UAM은 전기로 구동하는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기반의 교통 체계다. 현재 시는 연수구 송도동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옹진군 덕적·자월도를 오가는 노선을 UAM 시범운용구역으로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그러나 이 같은 UAM 상용화가 2년여 늦어질 전망이다.
시가 UAM 상용화를 함께할 민간 업체와의 계약이 당장 이뤄지지 못한다. 시는 민간업체가 UAM 2단계 실증사업을 통과한 내년 7월 이후에나 인천 UAM 상용화를 위한 계약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가 송도~덕적·자월 노선을 시범운용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필수조건인 민간 업체와의 계약 자체가 늦어지는 셈이다. 시범운용구역 지정 신청 시 운영계획서에 민간업체와 계약한 사업 목적 및 계획 등을 담아야 한다.
특히 송도나 덕적·자월 지역 주민들의 반발 등을 잠재울 수용성 확보도 문제다. 시가 상용화하려는 UAM은 4~5인승 규모이다 보니, 회전날개가 커 이로 인한 소음이 생기기 때문이다. ‘도심항공교통 활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조는 지자체가 시범운용구역 지정을 국토부에 신청하기 전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시가 UAM 이·착륙장 등 기반 시설을 넣을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 부지 사용 협의도 과제다. 인천항만공사(IPA)는 현재 시의 UAM 상용화 사업을 위한 부지 제공에 동의하면서도 사용 비용 등을 요구하고 있다. IPA는 시가 민간업체 계약 등을 통해 구체적인 부지 규모 등을 정하면 그 이후에나 비용 협의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UAM 상용화 사업 지연으로 핵심인 섬 지역 긴급 환자 이송은 물론 강화군 마니산 일대와 남동구 소래습지 일대 등 관광 사업으로의 확대는 당장 기약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 시는 UAM 상용화 사업 기간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간업체 선정을 앞두고 올해부터 군·구와 함께 주민 수용성 확보에 집중할 방침이다. 시는 군·구가 원하는 UAM 상용화 사업 구역을 조사하고, 해당 구역 주변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에 나설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UAM 시범운용구역 지정과 상용화는 계획보다 2년여 늦어질 수 있다”며 “인천이 UAM 등 미래산업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사업 지연을 최대한 줄이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