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0.35%)에서 올해 4월(0.06%)
인천의 부동산 매매가격의 하락 폭이 5개월 연속 줄어들고 있다. 반면 전세가격은 4월 기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다.
인천시는 21일 ‘2024년 4월 부동산 시장 동향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인천지역 매매가격 변동률은 3월 -0.06%에서 4월 -0.05%로 하락 폭이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 감소세는 이어지고 있으나 그 폭이 줄어들면서 가파른 하락세는 면하고 있는 셈이다.
지역별로는 송도국제도시가 있는 연수구의 매매가격은 지난 3월 대비 0.07% 증가했다. 남동구 역시 0.04% 증가했고, 계양구와 동구도 각각 0.03% 상승했다. 반면 부평구는 -0.37%, 중구는 -0.11%, 미추홀구는 -0.05%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전세가격 변동률은 0.3%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연수구 0.69%, 남동구 0.47%, 부평‧계양구 0.37%, 서구 0.17%, 동구 0.12%, 미추홀구 0.11%, 중구 –0.22% 등이다.
지가 변동률 역시 2월 0.14%에서 3월 0.156%로 상승폭이 확대했다. 연수구와 서구는 각각 0.28%와 0.161%로 인천 평균보다 높다.
이 밖에도 주택매매거래량 역시 2월 2천792건에서 3월 3천497건으로 25.3%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서구 723건, 남동구 565건, 부평구 562건, 연수구 487건, 미추홀구 434건, 계양구 381건, 중구 187건, 동구 76건이다.
최태안 시 도시계획국장은 “송도국제도시 바이오클러스터 확대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D‧E노선 호재 등으로 매수세가 상승하며 하락 폭이 축소됐다”고 했다. 이어 “전세는 인구 증가 및 교통환경이 양호한 역세권 대규모 단지 위주로 수요가 몰리면서 상승세가 전국 최고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