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산업입지 수급계획 수립 용역 나서…산업입지 현황 및 재생사업 구상

인천 남동구 남동국가산업단지 전경. 사진은 기사 본문과 구체적인 관련 없음. 경기일보 DB
인천 남동구 남동국가산업단지 전경. 사진은 기사 본문과 구체적인 관련 없음. 경기일보DB

 

인천시가 산업 활동에 적합한 입지를 찾고 산업단지 재생 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한다.

 

16일 시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산업입지 수급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한다. 기업의 요구를 반영한 산업입지 공급정책과 각종 재생사업 등 지속가능한 산단 계획 등을 세우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시는 내년부터 2035년까지 추진할 산업입지 수급 계획을 마련한다.

 

시는 용역을 통해 산업입지 여건의 변화와 지역 산업입지의 현황을 파악한다. 또 군·구별, 업종별 설문조사를 통해 산업입지 수요를 조사한다. 이와 함께 시는 노후 산단의 재생 방안을 찾는다.

 

시는 용역을 마친 뒤 산업입지 관련 계획을 국토교통부 산업입지정책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시는 올해 제조업체와 비(非)제조 업체들의 산업입지 수요를 모두 조사할 예정이다. 지난 2016년 세운 산업입지 수급계획과 달리 비제조 업체를 위한 입지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016년의 산업입지 수급계획에는 제조 업체들의 산업입지 수요만 반영했다.

 

이와 함께 시는 새로운 산업입지 수급계획에는 기반시설 조성 계획까지 담아 보다 체계적인 수급계획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국토부의 ‘산업입지수급계획 수립지침’을 반영해 앞으로 10년간 수요에 맞는 산업입지를 공급할 계획”이라며 “용역을 통해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인천의 산업입지 연평균 수요면적은 41만1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