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라의료복합타운 올해 착공 불투명…행정절차 지연 탓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청라의료복합타운 조감도. 인천경제청 제공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청라의료복합타운 조감도. 인천경제청 제공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의 청라의료복합타운 조성 사업이 행정절차가 늦어지면서 당초 계획한 올해 착공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7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에 따르면 청라메디폴리스피에프브이㈜는 청라국제도시에 오는 2029년 목표로 800병상 규모의 서울아산청라병원과 KAIST와 하버드의대(MGH) 연구소 등이 들어설 청라의료복합타운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인천경제청의 경관위원회에서 최근 재심의 절차까지 밟는 등 행정절차 지연으로 덩달아 사업이 늦어지고 있다. 경관위원회는 지난 2월5일 청라의료복합타운 6개 시설물 중 의료시설과 교육연구시설만이 조건부 의결했다. 이후 경관위원회는 재심의를 통해 지난달 9일 오피스텔과 노인복지시설, 생활숙박시설 등에 대해 조건부 의결했다.

 

앞서 이 사업은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6개월이 늦어지면서 착공이 미뤄지기도 했다.

 

현재 민간사업자는 개별건축물 6곳의 교통영향평가를 마치고 건축인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10월 건축인허가를 마치고, 올해 하반기에 착공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인천경제청 안팎에선 현재 부동산 경기가 나쁜데다, 자칫 건축인허가 심의에서 보완이나 재심의 의견이 나오면 사업이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미 청라메디폴리스피에프브이는 부동산 경기 악화와 건축비용 상승 등으로 인해 오피스텔 등의 분양 시점을 늦추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 청라의료복합타운은 800병상(1단계) 규모의 서울아산청라병원을 제외한 연구시설 및 노인복지시설 등은 오피스텔 분양 이익금으로 시설로 지어지는 만큼, 분양이 늦어지면 사업 지연은 불가피하다.

 

정종혁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1)은 “청라의료복합타운이 예정대로 착공 및 개원할 수 있도록 인천경제청 등 관계기관이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에 꼭 필요한 의료시설이고 주민들의 숙원사업인 만큼 관계기관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예상치 못하게 경관위원회 재심의 등으로 행정 절차가 늦어지고 있다”며 “건축인허가 단계에선 구조, 안정성, 동선 등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은 절차에서 시간을 최대한 단축해 예정대로 착공 및 개원할 수 있게 애쓰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