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뒤흔든 여야 변곡점 따져보니 [4·10 총선]

與, 용산발 각종 리스크에 전전긍긍했지만
한동훈 구원투수로 나서면서 분위기 전환
野, ‘친명횡재·비명횡사’ 공천 논란에 내홍
조국혁신당 창당… 국힘 상승 분위기 타격
‘야권 200석’ 가능성 판도 바꿔… 정국 출렁

4·10 총선 공식 선거운동이 투표일 전날인 9일을 끝으로 마감되면서 여야의 희비가 엇갈렸던 변곡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12월 정기국회 종료 후 선거 막판까지 적어도 세 차례 이상 승부를 가를 변곡점이 있었다.

 

먼저 지난해 말까지 국민의힘은 용산발 각종 리스크와 당내·외 분란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26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구원투수로 나서면서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다. 첫 번째 변곡점이라고 할 수 있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이 9일 서울 강동구 상일동역 앞에서 전주혜 후보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이 9일 서울 강동구 상일동역 앞에서 전주혜 후보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 위원장은 기득권 정치를 포기하면서 야당의 사법 리스크를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반등을 모색했다. 일부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이 민주당에 앞서는 ‘골든 크로스’를 이뤄내기도 했다.

 

당시 민주당은 이른바 ‘친명(친이재명) 횡재·비명(비이재명) 횡사’ 공천 논란으로 심각한 내홍을 겪었다. 민주당 내 강경파들은 설령 총선에서 지더라도 이재명 대표 중심의 당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여당 내에서는 한동훈 효과로 160~170석에 달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조국혁신당이 2월15일 창당한 뒤 여당의 압승 분위기가 ‘야권 200석’으로 판도를 뒤바꿔놓은 것이다. 정국의 판도를 바꾼 두 번째 변곡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당황한 국민의힘 내에서 이종섭·황상무 사퇴 요구가 나왔고 결국 윤석열 대통령은 당의 요구를 수용했다.

 

의대 정원 확대 문제도 논란이 됐다. 이 문제가 처음 공론화된 지난해 국정 지지도에서는 의대 정원 확대가 긍정평가 1위를 기록해 여당에서 총선에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문제는 불가역적 의미의 ‘2천명 증원’이었다. 이에 더해 갈등을 조속히 해결하지 못한다는 야당의 무능 비판이 더해지면서 국민들의 피로도를 높였다.

 

4·10 총선을 하루 앞둔 9일 대구 동성로관광안내소 앞에서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가 주먹을 쥐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4·10 총선을 하루 앞둔 9일 대구 동성로관광안내소 앞에서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가 주먹을 쥐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조국혁신당은 ‘3년은 너무 길다’는 캐치프레이즈를 앞세워 윤석열 탄핵 카드를 내세웠다. 범야당에서 200석 확보도 가능하다는 전망도 나왔다.

 

수세에 몰린 국민의힘은 민주당 김준혁 후보(수원정) 외설·막말 논란, 양문석 후보(안산갑)의 사기대출 논란 등을 집중 비판하며 여론 반등의 기회로 삼았다.

 

정치권 관계자는 “여야가 내 편·네 편 논리만 내세우는 등 수권정당의 모습을 외면했다”며 “총선 이후에도 안갯속 정국이 계속될 것으로 보여 매우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