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노후계획도시 정비를 위해 기본계획 수립에 나선다.
20일 시에 따르면 연수택지와 구월택지, 계산택지를 비롯해 연접한 택지의 합이 100만㎡(33만평) 이상인 갈산·부평·부개, 만수 1·2·3지역에 대한 노후계획도시 기본계획 수립을 추진한다. 노후계획도시는 대규모 주택공급을 위해 1980~90년대 건설한 대규모 주거단지로 노후화로 인한 정비시기가 도래하면서 기본계획을 마련해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기본계획 수립을 한 뒤 국토교통부에 통합정비를 위한 특별정비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특별정비구역으로 지정이 되면 안전진단 면제 혹은 완화, 통합 심의를 통한 절차 단축과 종 상향 등의 특례를 받을 수 있다.
시는 이번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노후계획도시의 공간적 범위와 목표 및 추진 방향, 정비예정구역, 밀도계획 등 재정비를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체계적 정비를 위한 지원과 관리방안 등을 기본계획에 담는다. 시는 오는 2025년 10월까지 기본계획을 확정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시는 설명회 등을 통해 주민들의 의견 수렴과 전문가 집단을 지정한다. 정비예정구역 중 주민들의 참여도, 노후도, 주민불편도, 주변지역에 미치는 파급효과 등을 고려한다.
최도수 시 도시균형국장은 “내실 있는 기본계획을 수립해 공동주택 위주의 확일적인 노후계획도시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자족기능을 갖춘 미래도시로 전환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