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가 지난해 해상-항공 복합운송화물(Sea&Air) 실적을 분석한 결과 2022년 6만8천870t보다 43.1% 늘어난 9만8천560t이라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Sea&Air 화물은 주로 중국에서 한국 서해안의 각 항구(인천, 평택, 군산)까지 해상으로 운송한 뒤 인천공항에서 전 세계로 배송하는 물류 체계다. 인천공항의 우수한 중국과의 지리적 접근성 및 전 세계 183개 도시를 연결하는 허브 네트워크가 주요한 경쟁력이다.
화물의 출발지는 99.6%가 중국이며,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 출발하는 전자상거래 제품이 주다.
주요 출발지 가운데 한 곳인 중국 웨이하이는 중국 정부가 지정한 해외직구 물류 거점 도시다. 정부 정책에 따라 중국에서 출발하는 전자상거래 화물의 상당량을 이 지역의 물류센터에 집하한 뒤 해외로 수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공항을 경유하는 물동량의 추가적인 성장 전망도 밝은 편이다.
한국에 도착하는 항구별 실적은 군산항이 40%, 인천항 38%, 평택항 22%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에는 인천항의 실적이 가장 높았지만 군산항의 화물환적 소요시간, 선박 운항 스케줄, 선적량 등이 인천항보다 유리한 면이 있어 인천항보다 먼 거리임에도 다수의 물류기업들이 군산항 루트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물의 최종 목적지는 북미가 47%로 가장 많았고, 유럽 31%로 뒤를 이었다. 다수의 물류기업들은 다양한 스케줄의 여객기 및 화물기 운항 네트워크를 갖춘 인천공항의 허브 경쟁력을 활용해 중국-인천공항-미주.유럽 경로의 Sea&Air 화물을 운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학재 공항공사 사장은 “인천공항 화물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국내시장에 안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해외 화물시장을 개척해야 한다"” 강조했다. 이어 “항공은 물론, 해상 등 다양한 루트를 활용한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인천공항을 아시아의 전자상거래 물류 거점공항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