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미분양… 줄줄이 ‘직격탄’ 인천지역 건설업계 폐업 급증

2월 말 현재 226곳 등록말소 처분 59개 업체 줄폐업… 도미노 현상
市 “공공기관 등 민간 건설사업 시 적극적인 하도급 세일즈 나설 것”

(해당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인천 건설업계가 등록말소 및 폐업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일보DB
(해당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인천 건설업계가 등록말소 및 폐업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일보DB

 

인천 건설업계가 경기 침체로 등록말소와 폐업이 급증하는 등의 된서리를 맞고있다. 더욱이 건설 경기 하락으로 영세 전문건설업체들이 줄줄이 무너지는 도미노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5일 인천시와 대한건설협회·전문건설협회 인천시회 등에 따르면 2월 말 현재 인천건설 업체 226곳이 자본금 등 면허등록 기준을 지키지 못해 시와 구 등으로부터 등록말소 처분을 받았다. 이 같은 등록말소 처분 건수는 2021년 144건, 2022년 193건, 지난해 222건 등 최근 연간 총 건수를 감안하면 6배 가까운 증가세이다.

 

이와 함께 59개 건설업체는 자진 폐업했다. 자진 폐업 수 역시 2022년 149곳, 지난해 178곳보다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미추홀구에서 2013년부터 건설업을 하고 있는 A전문건설업체는 최근 구로부터 사실상 폐업에 가까운 등록말소 행정처분을 받았다. 건설업체 필수 조건인 전문 기술 인력 확보 및 자본금 유지를 못했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하반기에 전문 기술 인력 2명을 확보하지 못한데다, 자본금 1억5천만원을 유지하지 못해 지난해 영업정지 5개월을 받기도 했다.

 

중구에서 2018년부터 건설업을 하고 있는 B종합건설업체도 지난해 사업을 포기하고 자진 폐업했다. B사는 폐업 전 2년 간 일감을 수주하지 못해 은행 대출 등으로 연명했지만 결국 직원들 월급 주기도 힘들어 이 같이 결정했다.

 

종합건설업체들은 공사를 벌이면서도 자재비 상승 등 고물가와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원청사나 시행사로부터 대금을 제때 받지 못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폐업이 잇따르고 있다. 최소한의 면허 조건인 전문 기술 인력과 자본금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종합건설업체는 고금리와 아파트·상가 등의 미분양 직격탄 충격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한 종합건설업체 관계자는 “미분양으로 인해 건설업계의 일감이 전체적으로 많이 줄었다”며 “비용을 계속 들이는데 이자 감당도 어려워 시공을 하지 않으면서 공사는 점점 줄어들고, 대금 집행도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같은 종합건설업체의 줄 폐업은 이들 업체에게 하청을 받는 전문건설업체의 도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등록 말소 업종 226건 중 전문건설업체가 220건(97%)을 차지하는 것이 이 같은 현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전문건설업체들은 공사 수주 시 공제조합 보증을 위한 예치금 5천만원을 내는 것조차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장은 “건설 경기 하락과 고물가·고금리 탓에 지역 건설업체들이 줄줄이 무너지는 도미노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나마 종합건설업체는 그동안 수주한 물량과 자금력으로 버티지만, 전문건설업체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건설업계에 자금이 돌지 않아 일감이 급감하고 있어, 앞으로 이 같은 건설업체 줄폐업이 계속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지역 건설업체들이 문을 닫지 않도록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 건설 사업 추진 시 인천업체가 더 하도급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세일즈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