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 안전관리 1등급 달성 위한 연간 안전점검 계획 수립

인천항만공사. 경기일보DB
인천항만공사. 경기일보DB

 

인천항만공사(IPA)는 2035 경영목표인 공공기관 안전관리 1등급 달성을 위해 인천항 내 건설현장 및 시설물에 대한 연간 안전점검 계획을 수립했다고 19일 밝혔다.

 

IPA는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건설현장 및 시설물의 ‘니어미스(Near Miss, 대형사고의 전조증상)’를 제거하기 위해 선제적 안전점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IPA는 정부 중대재해감축로드맵에 따른 위험성 평가를 토대로 소관 건설현장 33곳(총 공사비 50억원 이상 대규모 건설현장 5곳, 그 외 건설현장 28곳)에 대한 정기안전점검을 분기별 1회 한다.

 

특히 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해서는 떨어짐이나 끼임, 부딪힘 등 3대 사고유형에 집중한 맞춤형 점검을 월 1회 추진해 각 건설현장의 자기규율예방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시설물안전법상 제1·2·3종 시설물 36곳을 포함한 소관 시설물 102곳에 대해서는 법적 점검 횟수(연 2회)를 초과하는 분기별 안전점검을 한다. 또 점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드론 등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안전점검도 추진한다.

 

아울러 항만시설 14곳에 대한 성능평가를 하고, 성능에 따른 투자 우선순위 선정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점검·보수주기 결정 등 노후시설의 내구현안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도 구축한다.

 

이 밖에 우수 현장 안전 인센티브 제공, 위험발굴 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등 현장 중심의 안전리더십을 강화, IPA형 안전경영시스템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김성진 IPA 개발계획처장은 “안전점검계획에 따른 안전점검을 차질없이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토교통부 안전관리수준평가 ‘매우 우수’ 등급 2회 연속 달성,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안전관리 1등급 획득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