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1조9천200억원 투입해 '도시재생사업' 추진

중구 신흥시장·동구 만석·화수부두 등 추가 지정

인천시가 ‘2030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안)’을 통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60곳을 선정했다.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2030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안)’을 통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60곳을 선정했다.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지역 원도심 균형발전을 이뤄내기 위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60곳을 선정했다.

 

18일 시에 따르면 ‘2030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안)’을 통해 종전 44곳의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중 34곳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새롭게 조정했다. 시는 1조9천200억원 투입해 강화군 6곳, 중구 4곳, 동구 8곳, 미추홀구 7곳, 연수구 6곳, 남동구 10곳, 부평구 7곳, 계양구 3곳, 서구 9곳 등 모두 60곳에 대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지역 쇠퇴도 분석 및 현장 조사, 군·구 협의 등을 통해 신규 활성화지역 22곳을 발굴했다. 시는 신규 활성화 지역에 중구 신흥시장을 비롯해 동구 화수부두 및 만석·화수 해안산책로 일원 등을 포함했다. 또 남동구 모래내시장·구월지구·구월예술회관 주변과 계양구 계산시장 주변, 부평구 부평종합시장 주변 등 중심상업지역도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앞서 시는 동·미추홀구 등 원도심 인구의 지속적 감소에 따른 빈집 및 노후건축물 등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봤다. 또 산업단지 18곳 중 60% 이상이 20년 이상 노후 산업단지로 경쟁력이 악화하고 산업단지 주변에서 주거와 공업 기능이 혼재한 지역이 많아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시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원도심의 경제기반을 강화하고 역세권과 연계한 혁신공간을 창출, 원도심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구상하고 있다. 또 지역자원과 연계할 수 있는 거점을 조성하고 역사문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지역자원을 활용한 상권특화 방안도 마련한다.

 

시는 노후주거지 재생사업을 추진하면서 주거와 공업 기능이 혼재한 지역을 정비하고, 원도심의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에도 지속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시는 이를 통해 원도심의 성장기반을 구축하고 활성화 방안을 만들어 인천만의 가치재창조에 나설 방침이다.

 

한편, 시는 ‘2030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안)’ 안건을 시의회에 상정하고, 시의회 의견청취 및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오는 6월 확정·고시할 예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