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소규모 택배 물량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의 배송비 부담 줄이기에 나선다.
1일 시에 따르면 ‘소상공인 공동물류센터' 참여 업체를 종전 560곳에서 1천곳으로 늘린다. 이에 따라 시는 대다수 소상공인이 물류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 중·대형 기업들은 택배사와 배송단가를 낮게 계약할 수 있지만 출고 물량이 적은 소상공인들은 배송 계약을 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소상공인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배송비를 부담하면서도 당일배송은 꿈 꾸기 어렵다.
앞서 시는 지난해 국토교통부의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 공모’ 사업에서 ‘소상공인 공동물류센터 구축사업’을 선정 받았다. 시는 개별 소상공인이 출고하는 소규모 물량을 1개로 묶어 택배사와 일괄 단가 계약을 하는 등 택배 배송 단가를 낮춘다. 이 때문에 단 1개의 물량을 출고하는 소상공인들도 배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 시가 지난 7월부터 시범 사업을 운영한 결과 113곳에 불과한 계약 업체가 560곳으로 크게 늘었다. 1개월 동안 585건에 불과하던 배송 물량 역시 7천807건으로 큰 호응을 받았다.
또 시는 전국 일반배송과 신선배송의 비용을 각각 2천500원, 3천500원부터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평균 배송료 대비 약 25% 저렴한 수준이다.
이와 함께 시는 저렴한 친환경 택배 상자 제작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하반기에는 인천 지하철 역사를 활용한 집화 및 5시간 동네 배송 시범 사업도 추진한다.
김을수 시 해양항공국장은 “공동물류사업으로 소상공인들의 물류 부담을 줄이고 판로를 확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소상공인 공동물류센터를 한층 활성화 시키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