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기업들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정부 전망치보다 낮은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인천상공회의소가 인천지역 182개 기업을 대상으로 ‘인천지역 기업이 바라본 2024년 경제·경영 전망’ 조사 결과, 자금조달 부담, 고원자재가 등 대내외 리스크로 경영활동에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정부와 국·내외 주요 기관은 올해 전망치 수준을 2.0% 이상 2.5% 미만 수준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기업들은 1.0% 이상 1.5% 미만(48개·26.5%) 구간을 가장 많이 꼽았다. 특히 응답 기업의 86.2%(157개)가 올해 성장률을 2.0% 미만일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경영전략 방향을 묻는 질문에는 ‘안정전략’을 꼽는 기업이 90개(49.7%)로 가장 많았다. 성장전략을 선택한 기업은 69개(38.1%), 축소화 전략을 선택한 기업은 22개(12.2%) 순으로 나타났다.
인천상의는 지역 기업들이 불확실한 경영환경 지속과 매출·수출 등 실적이 전년수준이거나 감소할 것을 우려해 보수적인 경영전략을 세운 것으로 보고 있다.
투자계획도 올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는 기업은 81개(44.6%)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 38개(21.1%)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는 기업도 62개(34.3%)로 집계했다.
대내외 리스크 요인으로는 ‘고금리 등 자금조달 부담’을 우려한 기업이 49개(26.9%), '고유가 및 고원자재가’ 여파로 분석한 기업이 48개(26.1%)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 인력수급 및 노사갈등(25개·13.6%), 수출부진 장기화(23개·12.8%), 고환율 등 외환리스크(14개·13.6%) 순이 뒤를 이었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지역의 많은 기업들이 올해 경제·경영 환경을 부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며 “물가·금리 안정화를 통한 내수 진작 및 투자활성화 등의 지원이 지역 기업들에게 절실하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