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트플랫폼 활성화 방안 공론화

市, 내년 1월 토론회… 문화재단 위탁 여부 결정 방침 

인천 중구 해안동 인천아트플랫폼 전경. 경기일보DB
인천 중구 해안동 인천아트플랫폼 전경. 경기일보DB

 

인천 중구 인천아트플랫폼이 제 기능을 못하면서 주변 상권까지 침체해 주민들이 대책 마련을 요구(경기일보 7‧8일자 1면)하는 가운데, 인천시가 공론화를 통한 활성화 방안 마련에 나선다.

 

16일 시에 따르면 내년 1월 중 중구 주민, 전문가, 예술인들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열고 아트플랫폼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시는 이 자리에서 현재 아트플랫폼을 위탁 운영하고 있는 인천문화재단에 대한 자체 평가 결과를 공개한다. 시는 이 자체 평가 결과와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 등을 모아 재단에 아트플랫폼을 계속 위탁 운영을 맡길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다만 시는 재단의 아트플랫폼 운영 계약이 이달 말까지인 만큼, 아트플랫폼 운영 공백을 막기 위해 임시로 재단과 3개월 계약 연장을 추진한다.

 

특히 시는 아트플랫폼에 있는 예술인들의 작업 공간 지원 사업인 ‘레지던시’를 확대·운영하기 위한 방안도 찾고 있다. 시는 단기적으로는 아트플랫폼 현 레지던시 공간 일부를 활용하면서 지역 체육경기장의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는 또 장기적으로는 오는 2026년에 레지던시를 광복회관으로 옮기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광복회관은 현재 입주해 있는 광복회 등이 2026년에 새로 지어질 인천사회복지회관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아트플랫폼이 지역에서 해온 역할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 등을 공론장에서 짚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주민, 예술인 등 시민 모두가 원하는 공간으로 재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시는 지난 2009년 중구 해안동 일대에 원도심을 활성화하기 위한 예술가의 창작공간과 전시관 등 아트플랫폼을 조성했지만, 제 기능을 못하면서 시민 이용도 줄고 인근 상권까지 침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구 주민들은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아트플랫폼은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니”라며 활성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