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계양TV 기업 유치 난항… 갈길 먼 ‘자족도시’ 꿈

市, 공업지 물량 재배치 나섰지만
용현·학익 등 개발사업지구 변수
안팎서 “국토부 수정법 개정 통해
첨단산단 지정 서둘러야” 목소리

인천 계양테크노밸리(TV)가 예정해 있는 계양구박촌동·귤현동 일대. LH제공
인천 계양테크노밸리(TV)가 예정해 있는 계양구 박촌동·귤현동 일대. LH제공

 

인천 계양구의 ‘3기 신도시’ 계양테크노밸리(TV)에 대기업 유치를 하지 못해 일자리 기능을 갖춘 자족도시 조성이 요원하다. 지역 안팎에선 국토교통부가 계양TV에 기업 유치가 가능하도록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4일 인천시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계양구 박촌동·귤현동 등 일대에 333만3천㎡(100만평)에 1만7천가구 규모의 공공주택이 들어서는 계양TV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는 계양TV 75만7천457㎡(22만9천532평)에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기업을 유치,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와 같은 자족기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시의 계양TV 기업 유치가 난항을 겪고 있다. 이곳 일대가 수도권정비계획법(수정법) 상 과밀억제권역인탓에 대기업 등의 공장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같은 면적 만큼의 공업지역 해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계양TV의 사업시행자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계양TV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을 추진 중이지만, 공업지역 물량 재배치가 이뤄지지 않아 차일피일 늦어지고 있다.

 

또 시는 공업지역 해제·지정을 동시에 하는 물량 재배치를 추진 중이지만, 해제 대상지 중 내항1·8부두 및 용현·학익 등 개발사업지구가 섞여 있어 쉽지 않다. 개발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추진이 이뤄지지 않는 등 각종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부터 ㈜LG유플러스와 ㈜엠비씨플레이비 등으로부터 투자유치 의향을 접수 받았다. 여기에 ㈜케이티(KT)에서도 투자 의향을 내비치고 있다. 이들 대부분 계양TV의 도시첨단산업단지에 최소 5천㎡(1천500평)에서 3만3천㎡(1만평) 규모까지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LH 관계자는 “대기업의 계양TV 투자 의향이 있는데도, 첨단산단 지정이 이뤄지지 않아 당장 유치를 못하니 답답하다”며 “첨단산단 지정부터 이뤄져야 보다 적극적으로 기업 유치에 나설 수 있다”고 했다.

 

지역 안팎에선 국토부가 계양TV에 기업 유치가 가능하도록 수정법 개정 등을 통해 첨단산단 지정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문세종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계양4)은 “계양TV가 ‘베드타운’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반드시 첨단산단 지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토부가 3기 신도시에 한해서 예외규정을 두거나, 적극적인 수정법 개정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더욱이 인천지역 정치권이 경기도 정치권과 힘을 합쳐 수정법 개정에 공동대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재 경기도 수원·안양·부천·광명 등 과밀억제구역으로 묶인 12개 지자체가 법 개정을 위해 공동대응협의회를 만들거나, 경기지역 국회의원들은 토론회·포럼 등을 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최근 국토부에 과밀억제권역의 공업지역 물량 재배치가 꼭 동시에 이뤄지지 않더라도 예외적으로 3기 신도시의 첨단산단을 지정해달라고 건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자칫 지금처럼 늦어지면 자족도시 조성에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타 지자체와 함께 공동대응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