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발전특구 지정’ 추진 전략 마련 1억여원 투입 내년 연구용역 추진...에너지산단 구축·민간투자 유치나서 일자리 창출로 인구 유입 효과 기대, 市 “세부적 계획 수립 지역 발전 노력”
인천시가 영흥 에코랜드 부지와 강화 남단 등에 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추진한다. 시는 강화·옹진지역 산업단지에 2조3천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통해 일자리를 만들어 지방 소멸을 막아낼 방침이다.
2일 시에 따르면 최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2023~2027 인천시 지방시대계획’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기회발전특구 지정 및 신청을 위한 가이드라인 공개에 발 맞춰 강화·옹진지역에 기회발전특구를 지정받을 수 있도록 계획 수립에 나선다. 시는 내년 1월에 총 1억5천만원을 들여 ‘인천형 기회발전특구 기본구상 및 전략수립 연구용역’을 할 방침이다. 시는 이 용역을 통해 기회발전특구의 개발 및 특화전략과 투자요건, 혜택, 기업유치방안을 세부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우선 시는 옹진군 영흥면 일대에 신에너지 기반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 곳은 시가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대비해 인천만의 자체매립지를 만들기 위해 매입한 에코랜드 땅 89만㎡(26만9천690평)이다. 시는 이곳에 인천 앞바다에서 이뤄지는 각종 풍력발전소 관련 산업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을 유치하는 그림을 구상하고 있다.
시는 또 강화군 삼산면을 중심으로는 미네랄 온천 등 관광 및 휴양자원이 풍부한 만큼 관광 산업을 위한 민간투자 유치에 나선다. 여기에 시는 IFEZ 추가 지정을 추진하고 있는 강화지역이 기회발전특구로까지 지정 받으면 추가적인 투자 인센티브 확충이 가능해 기업 유치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는 이들 강화·옹진지역에 기회발전특구로 인한 산업단지가 들어서 2조3천억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지면 많은 일자리가 생겨 주민 유입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강화·옹진지역은 노령화 등으로 인구가 계속 줄어 소멸 위기에 놓여있다.
시는 현재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의 가용 용지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기회발전특구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당초 입주업체의 12%대 증가율을 보이던 때와 비교해 최근 IFEZ의 입주업체 증가율은 3~4%대에 그치고 있다. 투자유치도 지난해 1억1천930만달러(1천556억원)로 가장 낮은 투자유치 실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역 안팎에서는 강화남단 지역은 인천경제자유구역(IFEZ)과 기회발전특구로 중복 지정해 강화·옹진 지역의 투자유치 인센티브를 대폭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시는 강화남단 지역의 IFEZ 지정을 위해 총 36억원을 투입해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박용철 인천시의원(국민의힘·강화)은 “인천은 원도심과 섬, 도시지역 간의 균형발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기회발전특구 지정과 시가 추진하는 IFEZ 확대 지정이 쌍끌이 정책으로 이뤄져 파격적인 세제 혜택과 기업 투자 유치가 가능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정부의 기회발전특구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에 대비, 세부적인 계획을 마련해 준비하고 있다”이라며 “강화·옹진지역이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편, 시가 강화·옹진지역에 추진하는 기회발전특구는 정부의 균형발전을 위한 지방정부 종합계획의 한 축으로서 상속세,양도세, 법인세, 취득세, 재산세 등 세제 감면과 규제 특례, 재정 지원 등이 가능하다. 이는 정부가 중앙정부 주도의 특구 설계 및 지정이 아닌 지역이 원하는 인센티브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서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2027 지방시대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