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서림 정시영 대표 “주민이 모이는 동네 사랑방 꿈꿔요”

image
‘책 숲, 사람 숲 광화문서림’의 숲지기 정시영 대표. 이다빈기자

“사랑방처럼 주민들이 옹기종기 모여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수원특례시 장안구 파장동의 골목길로 들어가는 입구엔 책방 ‘책 숲, 사람 숲 광화문서림’이 오가는 사람들을 맞이하고 있다. 

 

겉모습은 여느 책방과 같아 보이지만 한 평 남짓한 공간에선 날마다 새로운 이야기가 쓰이고 있다. 누구나 지나가다 문득 들러 책을 벗 삼아 따뜻한 차 한 잔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거나, 주민들이 모여 공통된 관심사를 함께 이야기하기도 한다. 책을 매개로 만난 사람들이 하나 둘 모여 새로운 동력을 얻고 마을 공동체를 이뤄가는 중이다. 

 

광화문서림의 운영자 숲지기 정시영 대표(56)는 지난 2020년 봄, 이곳에 따뜻한 계절을 닮은 고즈넉한 책방을 열었다. 

 

광화문서림의 역사를 이어가기 위해서다. 정 대표의 부모님은 1969년 서울 광화문 신문로에 ‘광화문서림’의 문을 열었고 그곳에서 그 시대와 지역민과 함께 많은 역사를 남겼다. 이후 정 대표가 이곳에서 광화문서림의 두 번째 챕터를 이어가고 있다.

 

책방을 열기 전까지 주민운동을 하던 정 대표는 누구보다도 지역 공동체의 힘을 안다. 주민이 뭉쳐 지역을 바꾸고, 다시 지역이 세상을 바꾼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 같이 둘러앉아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테이블 등 그의 철학이 녹아든 가구와 구조물들이 눈에 띈다. ‘서점’이 아니라 누군가를 위한 ‘공간’에 초점을 맞춘 흔적이 책방 곳곳에 녹아있다.

 

광화문서림은 수원문화재단에서 진행하는 문화사업인 동행공간에도 참여하며 지역 주민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을 제공한다. 

 

어느 날은 주민들이 소모임을 할 수 있는 소모임방이었다가 어느 날엔 밴드의 공연장이 된다. 때론 강연장과 수다방으로 기꺼이 변신을 해 공동 육아를 하는 사람들이 모이기도 하고, 강의를 듣고 실습이 이뤄지기도 한다. 

 

지난해엔 6개월가량 예술인들과 협업을 해 그가 꿈꾸는 지역공동체 모습에 한걸음 더 가까워졌다. 광화문서림에 예술인들이 머물면서 주변 주민을 인터뷰하고 사진도 찍어 예술 활동을 이어 나가자 흥미를 느낀 주민들이 하나둘씩 모여든 것. 그는 앞으로도 이 같은 행사를 통해 공동체 문화를 가꿔나갈 예정이다. 

 

정 대표는 “일을 저질러보려면 사람이 모여야 하고 사람이 모이려면 공간이 필요하다”며 “광화문서림이 그 거점이 됐으면 한다. 무언가를 해보려는 분들에게 기꺼이 공간을 내어드리겠다”고 웃어 보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