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고양시 "시의회 예산심의 보이콧으로 민생 차질과 성장동력 상실 위기"
지역사회 고양시

고양시 "시의회 예산심의 보이콧으로 민생 차질과 성장동력 상실 위기"

박원석 부시장, 시의회 예산심의 의무 포기 시 신규사업 중단 및 시민 피해 ‘코앞’

image
박원석 고양특례시 부시장(오른쪽 두번째)은 13일 시청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년도 예산안 미처리시 발생할 초유의 사태 등을 설명하고 있다. 권순명기자

고양특례시는 13일 시청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년도 예산안이 처리되지 않으면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박원석 고양시 부시장은 내년도 예산안이 처리되지 않으면 초유의 사태를 맞아 시정업무 마비와 민생 분야 파탄이 초래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경기 북부지역 최초의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글로벌 재도약을 준비하던 성장동력이 상실될 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우려도 표했다.

박 부시장은 “2023년도 본예산안을 지난달 21일 시의회에 제출했으나 시의회의 권한이면서 본연의 의무인 예산심의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며 “만약 예산안이 의결되지 않으면 시민들의 피부에 와 닿는 민생사업들이 중단되는 사태를 맞게 된다”고 밝혔다.

특히 시는 올해 제3회 추경예산 처리마저 못 한다면 당장 소외계층 대상과 노인복지 분야 등의 지원이 끊어져 연말연시 민생대책은 무위로 돌아간다고 지적했다.

시는 내년도 예산안을 당초 지난달 25일부터 오는 15일까지 열리는 2차 정례회에 제출했으나 예산 심사 ‘보이콧’으로 민생 피해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시의회가 오는 31일까지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하지 않을 경우 법령 및 조례에 따른 설치·운영시설과 지출의무 이행, 계속 사업 등 법정 경비만으로 이뤄진 준예산만 집행하게 된다.

이는 고양시 역사 이래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초유의 상황이 초래되는 것이고 신규 사업 중단과 민생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당장 제설장비 용역(45억원)과 도로 응급복구(76억원) 등 긴급한 재해복구를 비롯해 교통시설 유지보수(47억원), 공원 관리용역(111억원) 등의 계약에 차질을 빚는다.

이어 청년일자리 대학생 행정체험(2억6천만원) 및 자율방범대 지원(3억원), 경기도 생활체육대축전 등 민간 행사 보조금(57억원) 지급이 중지된다.

또 법령과 조례상 임의 규정으로 돼 있는 학교 무상급식(300억원), 교육기관 보조(186억원)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지원할 수 없게 된다.

도로 보도정비(116억원), 배수펌프장 시설정비(50억원), 교량 보수보강(43억원) 등 재난대응 시설비도 예산 집행이 중단된다. 이처럼 재해 재난 등 예측할 수 없는 사건 사고에 신속한 대응할 수 없어 시민 불편 및 피해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시는 “예산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시의회의 의결이 필수적”이라며 민생사업 중단으로 시민의 불편이 초래되지 않도록 시의회가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해 주기를 촉구했다.

한편 시는 예산안이 수립되지 않을 경우 준예산 집행에 따른 시민 불편과 민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검토에 들어가지 않을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관행적이고 단순한 복지 포퓰리즘 예산은 지양하고 고양시의 백년대계를 위해 베드타운에서 벗어나 자족도시 실현 등의 정책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것이 바로 큰 틀에서 시민들을 위한 실질적인 복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고양특례시는 민선 8기 주요 정책으로 ‘글로벌 자족도시’를 내세우고 있으며 바이오, 마이스, 반도체, 지식재산(IP), 문화 등 핵심 전략산업에 주력하고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경제·물류 중심의 경제자유구역 육성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고양=권순명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