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고양시정연구원 “필수근로자 30% 지침 무지…안전우려”
지역사회 고양시

고양시정연구원 “필수근로자 30% 지침 무지…안전우려”

고양에서 핵심 사회기능을 담당하는 필수 근로자의 30%는 업무 매뉴얼에 무지한 것으로 나타나 안전사고 등 위기대응 능력이 우려된다.

3일 고양시정연구원에 따르면 보건, 돌봄·복지·교통·운송· 환경미화 분야에서 시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과 편의를 돌봐주는 직종에 종사하는 필수 근로자는 8만4천여명에 달한다.

연구원이 최근 필수 근로자 220명의 근무조건과 직업만족도 등을 조사한 바로는 직무에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많고 업무지침 관리도 허술한 것으로 파악됐다.

설문조사에 응한 근로자의 30% 이상이 재난 등 긴급 상황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절차와 범위 등을 규정한 매뉴얼을 모르거나 아예 갖고 있지 않았다.

약 40%는 직장 상사나 고객 등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다. 주요 유형은 인격 무시(51.2%), 폭언·욕설(39.5%), 밀침·폭행(5.8%), 성희롱(3.5%) 등이었다.

월평균 소득은 200만~299만 원이 40.7%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200만 원 미만 27.6%, 300만~399만 원 26.2% 등의 순이었다.

일터에 휴게시설이 없거나 설치할 수 없는 곳도 57%에 달해 환경개선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필수 근로자가 요구한 최우선 개선사항은 낮은 임금(47.5%), 사회적 편견(11.8%), 장시간 노동(7.7%), 고객 갑질 (7.7%) 등으로 다양했다.

고양시정연구원 측은 “업무 환경이 열악한 분야를 중심으로 인력을 늘리고 시설을 개선하는 한편 모든 직종에서 재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업무 매뉴얼을 마련토록 시가 행정지도를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양=권순명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