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조국사태 후 중대 기로...점수 반영 안되자 지원자 없어 대입 공정성 강화·코로나 겹쳐, 절벽 가속화... 참여대책 ‘고심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학생 봉사활동’이 지난 2019년 조국 사태를 기점으로 중대 기로에 서게 됐다. 정부가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의 일환으로 2024학년도부터 정규교육과정 외 개인 봉사활동 실적을 대입에 반영하지 않기로 하면서 학생을 중심으로 한 외부 봉사활동들이 자취를 감췄기 때문이다. 본보는 상·하편으로 나눠 학생들의 발길이 끊긴 학교 밖 봉사활동의 현실과 자원봉사·교육계의 고민을 들여다봤다. 편집자주
◇온기 잃은 ‘청소년 봉사’ 上. 기로에 선 학교 밖 활동
3년 만에 175만→39만…중·고교생 자원봉사 절벽 ‘현실화’
“2018년도까지만 해도 청소년 봉사활동 모집에 3천명이 지원했는데, 요즘은 10명만 와도 감지덕지합니다.”
경기도의 한 자원봉사센터에서 13년째 근무 중인 고주영씨(가명·47)는 청소년 봉사활동에 대해 묻는 본보 취재진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고씨는 지난 2019년 정부의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발표 이후 코로나19 여파로 청소년들의 봉사활동 지원 문의가 끊겼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고씨는 올해 관내 지자체와 함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환경정화 봉사활동 모집 공고를 보여주며, 9월까지 단 1명도 지원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여름·겨울방학 기간 운영되는 청소년 방학프로그램조차 학생들의 관심에서 사라졌다고 부연했다.
고씨가 몸담은 A자원봉사센터에서 작성한 청소년 방학프로그램 참여자 수 현황을 보면, 2019년 3천318명이었던 참가자 수는 2020년 1천379명으로 급감하다 지난해 0명을 기록했다.
고씨는 “청소년들이 이 시기에 다양한 봉사활동을 경험하지 못하게 돼, 인성교육 차원에서도 좋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의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와 코로나19 여파로 청소년들이 도내 봉사활동 현장에서 자취를 감추면서 ‘청소년 봉사활동 절벽’이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내년부터 고등학교 전 학년에 대한 개인 봉사활동 일체가 인정되지 않으면서 이 같은 현상은 가속화될 전망이다.
21일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19년 11월 조국 사태로 대입 불공정 논란이 빚어지자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정부는 2024학년도 교육과정부터 정규교육과정 외 수상경력, 개인 봉사활동 실적 등을 적는 비교과 활동을 대입에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중학생의 경우 의무 봉사활동이 60시간에서 15시간으로 줄고, 고등학생은 고3을 제외한 2024학년도부터 대학에 입학하는 고1, 2의 경우 개인 봉사활동이 인정되지 않고 있다.
특히 중학생은 개인 봉사활동으로 채웠던 의무 봉사활동을 학교 활동으로 대체하고 있다.
실제로 1365 자원봉사포털 자료를 보면 2019년 12월 기준 14세 이상 19세 이하 도내 중·고교생 자원봉사자 수는 175만2천308명에서 2021년 12월 39만1천707명으로 급감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관계기관과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할 수 있는 봉사 프로젝트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