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영통소각장’ 운영안 공론화 시동

‘온라인 숙의토론’ 민의 수렴 나서...전문가들, 시민 불신 해소가 우선
인근 지역 적절한 지원책도 주문

지난 17일 수원컨벤션센터 회의실에서 열린 ‘수원시 자원회수시설 운영 시민공론화 온라인 숙의토론’에서 참석 패널들이 발언을 하고 있다. 수원특례시 제공

수원시 자원회수시설(이하 영통소각장)의 운영 방안 결정에 나선 수원특례시가 본격적인 공론화 작업에 착수하면서 해당 시설의 운명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8일 수원특례시에 따르면 시는 전날 수원컨벤션센터 회의실에서 이재훈 자원회수시설 문제해결 미래비전위원회 위원, 이재남 영통소각장주민소송모임 대표 등 주민대표와 조성배 공생기반연구소장, 이인신 수원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조영민 경희대 환경공학과 교수, 박홍조 한국환경공단 부장 등 전문가를 초청, ‘수원시 자원회수시설 운영 시민공론화 온라인 숙의토론’을 진행했다. 이날 토론회는 시의 유튜브 채널로 생중계돼 시민들도 댓글로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영통소각장과 같은 자원회수시설을 향한 시민 불신이 큰 만큼 행정기관이 주민들과 신뢰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조성배 공생기반연구소장은 “쓰레기로 인한 갈등을 해결하려면 자원회수시설 자체에 대한 주민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며 “이러한 시설 주변 주민들을 위한 적절한 지원책 역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주민대표들은 영통소각장 대보수 사업에 따른 사용 기한 연장 반대 입장을 공고히 하면서 이전을 요구했다.

이재훈 자원회수시설 문제해결 미래비전위원회 위원은 “영통소각장은 조속히 옮겨져야 하고, 이전 기간 현 시설은 안정적으로 운영돼야 한다”며 “영통소각장에 대한 대보수 사업으론 주민 불만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이재남 영통소각장주민소송모임 대표 역시 이전을 통한 조속한 해결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이처럼 주민들이 이전의 뜻을 굽히지 않으면서 오는 24일 수원컨벤션센터 켄벤션 2홀에서 예정된 현장토론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0명의 ‘시민 숙의단’은 영통소각장의 운영 방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만약 주민 여론이 이전으로 결정될 경우 시는 시민들의 뜻을 토대로 이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현장 토론의 의제는 영통소각장 필요성 및 문제점, 단기 대책 등이며 유튜브 채널로 이를 실시간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2000년부터 가동한 영통소각장(하루 처리용량 600t, 영통구 영통동 962-3번지 위치)이 노후화됨에 따라 1천487억원(국비 361억원)을 투입, 오는 2025년 말까지 대보수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민선 8기 주민 여론 수렴을 앞세운 이재준 시장이 취임하면서 잠정 중단했다.

이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