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 이것만은 해결하자] 안양시 박달스마트밸리 사업 정상화

박달동 50탄약대대 일원 306만㎡ 부지 개발
첨단산업·주거단지 2조 규모 대형 프로젝트
심사위원 자격논란 지루한 법정공방전 우려

image
지난해 민간사업자 공모 과정에서 문제가 드러나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안양 박달스마트밸리 위치도. 박달스마트밸리는 차기 시장이 해결해야 할 안양지역 최대 현안으로 꼽히고 있다. 안양시 제공

안양시가 지역 상생발전과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해 지난 2017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이 최근 들어 사업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박달 스마트밸리 사업은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50탄약대대 일원 306만㎡ 부지에 4차산업 육성을 위한 친환경 첨단산업, 업무, 문화, 의료(바이오), 주거복합단지 조성사업으로, 사업비만 2조 원이 넘는 대규모 프로젝트 사업이다. 사업방식도 기부 대 양여방식으로 국유지와 사유지 공동개발하는 방식이어서 국가·지역 간 상생발전이라는 특징이 있고, 스마트밸리가 들어서는 박달동 지역이 안양지역에서는 개발 취약지역이기 때문에 이 사업이 완료되면 지역균형발전은 물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도모할 수 있어서 안양시민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하지만, 지난해 민간사업자 공모 과정에서 심사위원 중 한 명이 자격논란이 제기되면서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 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안양시도시공사(도시공사)는 지난해 10월 민간사업자를 선정하기 공모를 냈고, NH 컨소시엄과 GS 컨소시엄 등 4개의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도시공사는 같은 해 12월 공모심사위원회를 개최해 심사를 진행했으나, 심사위원 중 한 명이 자격논란에 휘말리면서 심사가 중단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자, 도시공사는 지난 1월 재심사 결정 공모를 냈으나, NH 컨소시엄이 입찰절차속행 금지가처분을 신청서를 제출했고, 법원은 NH 컨소시엄의 손을 들어줬다. 이에 도시공사는 지난달 가처분이의 신청서를 제출해 현재 법원을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

법원의 판단에 따라 박달스마트밸리의 추진방향이 결정되겠지만, 문제는 도시공사나 NH 컨소시엄이 법원의 판단을 수용하느냐에 달렸다. 만약, 양측이 법원의 판단을 신뢰하지 못하고 본안소송을 진행하면 올해 사업추진은 어려울 전망이다.

이 때문에 오는 6·1지방선거에서 후보자들이 해결방안을 내놓아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안양정가 한 관계자는 “사업비만 2조 원이 넘는 대규모 개발사업이 추진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고 해서 사업이 지연돼서는 안 된다며, 시장선거 후보자들이 스마트밸리를 풀 수 있는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안양시장선거에 출마한 한 후보자는 “민간사업자 공모과정에서 심사위원 자격논란은 찬·반 의견이 있었기 때문에 당시 심사결과를 발표했으면 문제가 없었는데, 소송까지 이어지면서 문제가 확산됐다”며 “도시공사나 NH 컨소시엄이 이번 법원의 판단을 수용해 사업이 재개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공모재심사에 대한 소송이 본안소송까지 이어진다며 올해 안에는 행정절차를 진행할 수 없다”며 “만약, 소송에서 재심사 결정으로 판단될 경우 도시공사는 민간사업자와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설립해 조속히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양=김형표·이호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