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_이것만은 해결하자] 고양특례시 13년만에 재추진되는 JDS지구

일산신도시 2배인 JDS지구가 13년만에 재추진 된다. 고양특례시가 공공주도개발로 진행하는 JDS 지구개발에 대해 시민단체들은 개발이득 지역사회 환원을 주장하고 있다. 고양시 제공

고양특례시는 올해 시승격 30주년이자 특례시 원년으로 특별한 한해를 맞았다. 30년 전 25만이었던 인구는 현재 4배 증가한 100여만명을 훌쩍 넘었다. 도심 곳곳에 일산테크노밸리, 방송영상밸리 등 대규모 자족시설이 순조롭게 들어서 안착되면서 서울의 베드타운이라는 오명은 사라지고 경기북부지역 대표도시로 우뚝 섰다. 이런 가운데 고양특례시 황금노른자땅이라고 불리우는 ‘JDS지구도시개발사업(장항, 대화, 송산·송포지역)추진이 초미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지난 2008년 지정 된 이후 무산을 거듭하다가 고양시가 지난해부터 경기도등과 함께 무려 13년만에 강력히 재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 일산신도시 2배 JDS 지구, 오는 2024년 본격화될듯

장항, 대화, 송산·송포의 영문 앞 글자를 딴 JDS지구는 전체 면적은 기존 일산신도시 2배에 달하는 2천782만㎡규모다. 이중 대화, 덕이 등 507만㎡에는 자족기능을 갖춘 복합신도시건설이 예고됐다.

그동안 JDS지구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이 지구는 2008년 수립된 ‘2020년 고양도시기본계획’에서 경기 북부 균형발전을 위한 자족기능을 갖춘 복합신도시 건설이 필요하다는 경기도 의견에 따라 시가화예정용지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3년간 개발행위허가가 제한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와 경기도 측에서 수익성이 없다는 판단을 내리면서 조성사업이 동력을 잃었다, 설상가상으로 개발행위제한까지 3년 기한이 만료됐다. 사업추진이 사실상 물건너간것이다. 이런 와중에 고양시가 경기도와 JDS지구 개발 사업에 뜻을 한데 모은것은 지난해말. 고양시는 지난해 12월 21일 경기도·경기주택공사·고양도시관리공사와 함께 ‘JDS 지구개발을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공공주도 개발을 추진, 신 교통수단을 반영한 미래산업 신 성장거점으로 조성하기로 협의 했다. 이어 12월 28일에는 JDS지구가 포함된 ‘2035 고양도시기본계획’이 경기도의 승인받으면서 무려 13년 만에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게 됐다.

시 관계자는 “ 현재 고양시에서 진행되는 대형 자족기능 사업이 완성되는 개발사업의 현황을 고려해 사업시기를 조절하고 있다”면서 “ 오는 2024년쯤 본격화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 고양특례시 공공주도개발로 개발이익 재투자 협약

고양특례시에 따르면 JDS지구는 단순 도시개발이 아닌 복합도시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계획안에 신 교통수단을 반영한 교통망 계획을 수립한다.친환경 교통수단인 트램 도입과 함께 GTX-A와 3호선을 연계하는 대중교통체계를 구축, 기존 시가지와 연결이 가능한 퍼스널모빌리티 전용도로 등도 검토되고 있다. 문제는 JDS지구의 개발이익 처리다. 고양지역 시민단체들은 “ 대장동개발사업처럼 특정 민간인에게 엄청난 이득이 돌아가면 안된다”며 개발이득의 지역사회환원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고양시는 “공공주도 개발을 통해 공공성을 확보, 균형발전을 우선으로 추진하겠다”고 천명했다. 공공주도개발로 효율적인 도시기반시설 확보와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처리, 사업기간을 최대한 단축하고 인근 개발계획과 연속성을 유지, 계획적인 개발이 가능하며 과도한 개발이익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때문이다. 특히 행정절차진행시 주민의견을 수렴, 주민생활에 밀접한 공공시설과 생활 SOC 등을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민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크다고 분석하고 있다. 고양시 관계자는 “향후 사업이 구체화되면 개발이익 활성화를 위한 별도의 실시협약을 체결, 개발이익이 다시 주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JDS지구 개발 사업 실시협약 체결 시 개발이익의 지역 내 재투자에 관한 사항이 협약서에 명시될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는 것이다. 이어 “JDS지구 개발사업 시 수질복원센터와 멱절마을(역사공원복원)및 킨텍스 남단 예정지를 포함해 개발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