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교도소 이전사업이 6·1 지방선거에서 또다시 재점화될 전망이다.
안양시장 선거에 출마하는 여·야 후보들이 이구동성으로 안양교도소 이전사업을 핵심 공약으로 내걸고 있기 때문이다.
4일 안양시와 후보자 등에 따르면 정부는 서울 마포교도소가 수용한계에 이르자 지난 1963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으로 옮겨 안양교도소로 개칭됐다. 안양교도소 면적은 40만여㎡로, 안양시와 의왕시 소유 부지가 포함됐다. 안양교도소는 안양·의왕 도심 확장으로 지난 1990년대부터 이전문제가 제기됐으나, 실제 이전계획이 진척되지는 않았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15년 의왕시 왕곡동 골사그네 지역이 이전대상으로 떠오르면서 이전사업이 본격화됐다. 당시 법무부는 이곳에 법무타운을 건립해 안양교도소와 서울구치소, 서울소년원 등을 이전하는 계획을 세웠으나 일부 의왕 주민들 반대로 법무부 법조타운 이전사업은 무산됐다.
이 같은 안양교도소 이전문제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쳐 백지화된 듯 했으나, 대선후보 공약에 포함되면서 재점화하게 됐다. 벌써부터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자들이 구체적인 이전계획과 부지활용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최대호 안양시장(민주당)은 “안양교도소는 안양·군포·의왕 도심이 확장되면서 주변 지역 개발에 따라 이전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안양시는 안양교도소 이전에 대한 기본구상 용역과 중앙부처와의 지속적인 협의 등을 통해 실현 가능한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임채호 민주당 예비후보는 “도심 개발상황을 고려하면 안양교도소는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게 맞다. 이 부지에는 청년과 신혼부부 주택과 청년 스타트업 등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경순 국민의힘 시장 예비후보는 “윤석열 당선인이 안양교도소 이전을 공약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 이전계획이 수립될 것이다. 교도소 부지에 테마파크와 IT밸리 건립 등을 공약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대영 국민의힘 시장 예비후보도 “안양교도소 이전은 서울구치소와 소년원 등을 함께 이전하는 방식이 돼야 한다. 이곳에는 IT산업 등의 창업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양=김형표·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