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나서려는 인천지역 출마예정자들이 소속 정당마다 내놓고 있는 엄격한 공천 기준에 대해 유불리를 따지며 술렁이고 있다.
31일 지역정가에 따르면 국민의힘 인천시당은 이날 중앙당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받아 7명으로 이뤄진 지방선거 공천관리위원회의 구성을 끝냈다. 공관위원장은 배준영 시당위원장(중·강화·옹진)이 맡는다. 나머지 공관위원은 정유섭 부평갑 당협위원장, 양현주 전 인천지방법원장, 이민경 시당 K-교육대전환위원장 등이다. 국민의힘 시당은 앞으로 합당을 논의 중인 국민의당으로부터 추천을 받아 2명의 공관위원을 추가할 예정이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지난 25일 제2차 상무위원회의를 열고 김교흥 의원(서갑)을 위원장으로 한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와 정일영 의원(연수을)이 위원장을 맡은 공직선거후보자재심위원회의 구성을 각각 마친 상태다. 정의당도 지난달 서인애 위원장을 필두로 공직선거후보자자격심사위원회의 구성을 마치고 후보 검증 절차에 들어갔다.
인천의 주요 정당들이 공관위를 구성하는 등 본격적인 공천 체제로 넘어가면서 이번 지방선거에 나서려는 출마예정자들은 공천 기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공천 기준에 따라 경쟁자와의 유불리가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출마예정자들은 소속 정당의 엄격한 공천 기준을 두고 컷오프 가능성 등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미 지난 30일 음주운전을 비롯해 강력·성범죄와 투기성 다주택자 등을 부적격 기준에 넣는 등 종전 기준보다 엄격한 후보 부적격 심사기준을 내놓은 상태다. 이 같은 기준은 공관위 심의 과정에서 더욱 강력해질 수 있기에 이들 범죄경력이 있는 후보는 물론 현역 단체장 및 광역·기초의원들도 컷오프를 걱정하며 전전긍긍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탈당해 출마한 경우 10% 감점 등을 비롯해 7대 부적격자 기준을 마련 중이다. 만약 민주당처럼 음주운전 등까지 강력한 기준에 넣는다면 현재 국민의힘 인천 군수·구청장 예비후보 중 8명, 광역·기초의원 예비후보 중 16명은 불이익이 불가피하다. 여기에 오는 4월17일 역량 강화 시험(PPAT)을 치러야 하는 점도 변수로 꼽힌다.
여기에 중앙당이 기초의원 공천은 당원협의회에서 계획(안)을 내도록 하는 등 사실상 전권을 주면서 벌써부터 지역 곳곳에서 잡음이 나오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 당협위원장의 입맛에 맞는 무경선 공천 등을 우려한 반발이 큰 상태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유권자의 눈높이에 맞춰 정당 모두 후보 공천에 대한 도덕성 기준 등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인천에서도 컷오프 등을 당할 출마예정자들이 줄지어 나올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어 “각종 이슈에 따라 정당별 공천 기준이 계속 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출마예정자들은 앞으로의 공천 과정을 숨죽이며 지켜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