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1일 치러질 인천지역 군수·구청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은 현역 단체장의 무더기 물갈이, 국민의힘은 후보 난립으로 인한 공천경쟁 과열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22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민주당은 대선 패배 이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면서 대선 득표율이 낮았던 지역의 단체장에게 책임을 묻고 비리 전력자의 지방선거 공천 배제 등을 추진 중이다.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패한 지역은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옹진군, 강화군 등 5곳이며, 강화군을 뺀 4곳의 현역 단체장은 모두 민주당 소속이다. 민주당 내부에선 동구가 진보성향이 일부 강했지만 이번에 패한 점, 미추홀구는 3번 연속 민주당 출신 구청장인데도 패한 점, 연수구는 아예 과반의 득표율을 내준 점 등을 분석하고 있다. 또 옹진군은 35.5%의 매우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는 등 모두 대선 기여도에서 낮은 점수를 받을 전망이다.
여기에 남동구는 비록 대선에서 승리했지만, 현재 구청장이 뇌물수수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어 재선 도전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반면 국민의힘은 대선 승리 이후 모든 선거구에 군수·구청장 예비후보들이 쏟아지고 있다. 10곳의 선거구에서 최소 2명에서 최대 6명의 국민의힘 소속 출마예정자가 예비후보로 등록하면서 경쟁률이 3.6대 1에 달한다.
이 같이 국민의힘 소속의 예비후보들이 많은 것은 대선 승리에 따라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해 일찌감치 출마의지를 내보임으로써 앞으로 치열한 당내 공천 과정에서 조금이라도 우위를 점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이 같은 예비후보 난립으로 인해 치열한 공천 경쟁이 불가피해 서로 헐뜯고 비방하는 네거티브전이 발생할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지난 대선의 결과가 지방선거 공천에 고스란히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 영향은 민주당의 현역 단체장 물갈이, 국민의힘의 경쟁 과열 등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커보인다”고 했다.
김민·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