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요 250만명 대도시급 규모인 성남시는 교통과 도시개발·재생 등 해결해야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 더욱이 인구 감소로 특례시에 지정되지 못한 만큼 이러한 현안을 해결, 도시의 활력을 되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판교트램 달려야...본시가지 관통 1호선도 달린다
서울 강남과 인접해 있어 1일 110만대 차량이 오가는 성남시는 교통 문제 해결이 곧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나 다름없다.
이에 성남시는 탄소중립 시대에 발맞춰 도로 위를 달리는 전동열차인 트램 형태의 성남도시철도 1·2호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 일명 ‘판교트램’이라 불리는 2호선은 분당구 운중동에서 판교역, 판교테크노밸리를 거쳐 정자역까지 13.7㎞를 잇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지난 2019년 5월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된 2호선은 같은 해 7월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됐다. 그러나 일반 승용차와 트램이 함께 달릴 수 없는 게 주요 골자인 도로교통법 탓에 사업성이 나오지 않았다.
결국 예타 철회한 시는 총 3천500억원을 들여 자체 사업으로 판교트램을 완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판교트램의 발목을 잡은 도로교통법 개정을 촉구했다.
트램을 자체 사업으로 추진하는 곳은 성남시가 전국에서 유일하다. 성남시 사업추진 결과가 국내 트램 사업의 척도가 될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여기에 판교트램이 성공을 거둬야 판교역을 거쳐 모란역, 성남산업단지 등 본시가지를 통과(총 길이 10.38㎞)하는 1호선의 물꼬를 틀 수 있다. 쇠퇴하는 성남산단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다 빈약한 본시가지 교통망을 확충할 수 있는 중요 사업이다.
■표류중인 대장지구 완성
6천여세대로 계획된 성남시 분당구 대장지구는 지역에서 마지막 남은 노른자 땅(92만467㎡)으로 여겨진다. 지난해 정치적 논란에 휩싸이고 난 뒤 준공이 지연, 반쪽자리 개발사업에 그친 실정이다. 아파트 입주는 완료됐으나 각종 문제 탓에 상가건물이 더디게 들어서는 등 유령도시로 전락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원주민들이 재산상 피해를 호소하는 만큼 시가 대장지구의 준공승인을 하루빨리 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를 통해 명품 미니신도시의 완성에 마침표를 찍고 민원을 최소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시가지 정비사업…분당구 리모델링까지
성남시의 재개발·재건축 특징은 순환공영개발이다. 지난 1960년대 수정구와 중원구에 지어진 건물은 노후돼 정비사업 대상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들 지역에 들어선 건물 모두를 동시에 철거하고 새로운 아파트를 지을 경우 심각한 본시가지 공동화 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시는 LH와 10년 단위로 정비사업 계획을 설정, 순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2년간 부동산 광풍으로 집값 상승 현상이 나타나자 주민들은 자신의 지역이 재개발·재건축에 포함되길 원하는 만큼 시가 이러한 민원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분당구 지역에서 나오는 리모델링 수요도 감당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마저 나오고 있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2010년 초반까지만 해도 인구 100만명에 달려갔던 성남시가 떨어진 도시 활력으로 현재는 93만명에 그치고 있다”며 “교통, 도시개발, 정비사업 등에 대한 수요가 끊이질 않는 만큼 민선 8기 시장은 이러한 해법을 가진 사람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남=문민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