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이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도내 광역의원 20%, 기초의원 30%를 청년으로 공천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2030 청년세대의 목소리를 현실 정치에 반영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로, 민주당 경기도당은 한발 더 나아가 야당과의 협의를 통해 수원·고양·용인시 등 도내 특례시 선거구 중 일부를 청년 후보자 간 경쟁하는 ‘청년경쟁 선거구’로 지정한다는 방침이다.
박정 민주당 도당위원장(파주을)은 14일 민주당 경기도당 대선·지선 특집 기자간담회에서 “청년층이 자신이 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표성을 갖고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 같은 내용의 지방의원 청년 공천 확대 방침을 공개했다.
박 위원장이 밝힌 광역·기초의원 청년 공천 확대 내용을 보면 광역의원은 총 129개 지역구의 20%, 비례대표는 50%를 공천한다. 기초의원의 경우 도내 국회의원 선거구 59개 지역 기준으로 30%가 청년으로 채워진다.
아울러 박 위원장은 야당과의 협의를 통해 선거구가 많은 수원·고양·용인시 등 특례시 중 일부 선거구를 청년 후보자 간 경쟁할 수 있는 구도로 만드는 ‘청년경쟁 선거구’로 지정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청년경쟁 선거구로 지정된 지역은 여야 어떤 후보가 당선돼도 청년이 선출된다.
여기에 더해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원 등 일부 경선 지역에서 후보자를 심사할 수 있는 청년시민배심원제를 운영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경기도를 6개 권역으로 나눠 1개 권역당 100명의 청년시민배심원이 경선에 참여한 후보들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경선에 참여한 후보들은 청년을 위한 정책 공약 개발에 더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다는 것이 민주당 도당의 판단이다.
지방선거 공천 평가 항목에 대해서는 ‘대선 기여도’를 기존 20%에서 40%로 두 배 늘리겠다고 밝혔다.
대선 기여도 항목은 ▲지역선대위 활동 내용 ▲온·오프라인 조직화 성과 ▲홍보활동 여부 ▲콘텐츠 생산 성과 ▲2017·2022년 지역구 대선 득표율 변화 등 총 5가지로 구분된다.
박 위원장은 “이번 대선과 지방선거의 최대 승부처는 2030 청년세대의 표심”이라면서 “민주당 도당은 사즉생의 각오로 취·창업, 결혼, 내 집 마련 등 청년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공천방식 변화 및 청년정책 개발 등 다각도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