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등교 9일만에 인천지역 학생 자가격리자가 5천명을 넘어서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학생들의 자가격리를 위해서는 부모 중 1명은 함께 격리해야 하지만, 이와 관련한 정책이 없어 돌봄 공백 우려가 나온다.
1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전면등교를 시작한 뒤 9일간 누적 학생확진자는 총 290명이며, 이에 따른 학생 자가격리자 수는 5천800여명에 달한다.
질병관리본부 지침상 학생 확진자가 나오면 밀접접촉자는 물론 확진자가 속한 학급의 모든 학생이 10일간 자가격리를 해야 해 자가격리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이 때문에 교육계 안팎에서는 확진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정부가 전면등교를 고집한 만큼 확진자 발생에 따른 자가격리자의 돌봄 정책도 마련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남동구에 사는 워킹맘 A씨의 초교 5학년 아들은 최근 반에서 확진자가 나오면서 10일간의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이어진 코로나19로 A씨가 가족돌봄휴가 10일을 모두 사용했고, 개인 연차도 모두 소진했다. A씨는 “아이를 혼자 둘 수도 없고, 돌봐줄 사람도 없는데 격리해야 한다고 하니 막막하기만 하더라”며 “회사에 사정해 무급으로 휴직했는데, 당장 생계도 걱정”이라고 했다.
부평구에 사는 맞벌이 부부 B씨의 7세 딸도 지난달 29일 다니던 유치원에서 확진자가 나오면서 자가격리를 하고 있다. 5~7세 아이들이 함께 방과후 수업을 들으면서 확진자와 접촉해서다. B씨는 “전면등교를 시작할 때부터 걱정했던 상황”이라며 “아이들을 격리해야 하는 상황에 부모 1명을 함께 격리하도록 강제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했어야 한다”고 했다.
강지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복지국가연구단장은 “기본적으로 재택근무, 유연근무제의 활성화뿐 아니라 긴급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19라는 사회적 재난 상황에서 지자체와 교육청이 나서서 돌봄 매뉴얼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전면등교를 피할 수 없던 상황에서 돌봄공백에 놓이는 학생들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점은 인정한다”며 “지자체와 함께 위와 같은 아동들을 지원할 방법을 논의하겠다”고 했다.
김지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