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은 인공위성을 활용한 철도신호운영기술을 충북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성능검증을 완료했다.
해당 기술은 지상의 신호설비를 최소화,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철도신호설비를 구축하고 개량하는 기술로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성능검증은 12㎞에 이르는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실제 철도차량에 적용, 위성기반 철도신호 호환기술 기능과 성능 등을 검증했다.
철도연에 따르면 해당 기술을 통해 위성항법을 이용, 열차위치를 확인하고 위성통신을 통해 열차 위치와 이동권한정보, 열차운행 가능거리 등을 무선으로 교환한다.
기존 철도신호 설비는 궤도회로와 자동폐색장치 등 지상의 신호설비를 철도선로 전체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구축비용이 많이 들고 운영 및 유지보수에도 많은 비용과 노력 등이 필요하다.
철도연은 이에 지상의 철도신호 설비가 거의 필요 없는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철도신호설비를 구축ㆍ개량할 수 있고 운영 및 유지보수 효율성이 높은 인공위성을 활용한 철도신호운영 기술을 개발했다.
철도시설은 오래돼 저비용으로 빠른 개량이 필요하나 저개발 국가의 노후 철도망을 개량하고 경제적이며 안전한 장거리 화물철도망 구축이 목적이다.
이 기술은 남북한 철도망의 효율적 연계를 위한 초기 인프라기술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럽의 경우 유럽우주기구와 유럽철도기구 주도로 지난 2010년대 초반부터 인공위성을 활용하는 철도신호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유럽표준형 신호시스템(ETCS)과 위성통신을 접목해 호환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연구 개발 중이다.
신경호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위성기반 철도신호기술 실용화를 위해 철도분야 안전표준에 맞는 안전성 향상 기술개발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저비용으로 신속한 개량이 필요한 지역에 적합한 안전한 철도신호기술로 아세안 신남방 국가 등 개발도상국 적용방안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