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 점포가 많아지면 제 일자리가 사라지는 거 아닌가요?”
코로나19 여파에 내년도 최저임금 상승까지 결정되며 무인 점포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로써 일자리가 사라질 위협에 놓인 주문이나 계산 등 단순직 노동자들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2일 한국은행의 ‘코로나19의 상흔: 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대면서비스업 중 자동화 확률이 70% 이상인 ‘자동화 고위험’ 직업군의 지난해 10월 취업자 수는 2017년 4월 대비 10.8%나 감소했다. 인력 채용 대신 키오스크 등 자동화 설비를 설치하는 사업체가 늘면서 대면서비스업의 타격이 증폭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 악화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과 최저임금 상승률 등을 고려하면 현재 이 비율은 훨씬 더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역시 무인화가 가속화되는 가장 큰 원인으로 급격히 상승한 최저임금을 꼽고 있다. 지난달 수원 정자동에서 무인아이스크림 매장을 오픈한 A씨(38)는 인건비가 오르고 있어 사업을 준비하면서 무인점포로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운영이 어려워도 인건비 부담이 덜하면 괜찮을 것이란 판단에서였다.
대형 오프라인 유통업체들도 비대면 시스템 도입에 속도를 내며 대면서비스업 종사자들은 하루하루 마음을 졸이고 있다.
안양의 한 대형마트 계산원은 “무인화로 운영되는 매장을 가봤는데 계산대 8개에 직원 한 명이 근무하고 있었다”라며 “무인화로 가장 먼저 위협받는 직종은 우리 같은 단순직이라 언제까지 일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고 토로했다.
이런 가운데 비교적 디지털 기기에 익숙지 않은 중장년ㆍ노년층들이 무인화로 인한 키오스크 사용에 불편을 겪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수원의 한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 매장에서 근무하는 B씨(23)는 “이용방법을 설명해도 어려움을 느끼는 어르신들이 많아 직접 해주는 경우가 많다”며 “또래 친구들도 변화에 낯설어 하는데, 바뀌는 속도가 빨라 쉽게 적응하기 힘들어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급속화되는 무인화로 실직 기간이 길어질 경우 장기적인 고용회복 불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한국은행 고용분석팀 송상윤 과장은 “무인화 등으로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의 경력 공백이 길어질 경우 취업이 더 어려워지는 등 장기실업자로 전락할 수 있다”면서 “고용회복을 둔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 구조적 문제로 고착되지 않도록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