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세계 최초 철도무선통신 국제표준 인증 획득

도시철도 전동차에서 국제 철도규격 만족 및 안전대응성을 시연하는 모습.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도시철도 전동차에서 국제 철도규격 만족 및 안전대응성을 시연하는 모습.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철도무선통신(LTE-R) 공인인증기관’ 자격을 획득했다.

철도연은 지난 8일 세계 최초로 국제 철도표준을 만족하는 ‘철도무선통신(LTE-R) 공인인증기관’ 자격을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철도연에 따르면 유럽을 중심으로 무선통신을 활용한 열차제어는 3세대 통신이 활용되고 있고 기술발전에 따라 4세대 통신기술(LTE)을 적용하기 위해 전 세계가 노력 중이다.

반면 한국은 세계 최초로 4세대 통신을 철도에 실용화하고 국제기술 표준화를 이뤘다.

이번 철도연의 국제인증기관 인정은 철도에 적용하는 LTE기술 국제표준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인증서를 발행하는 세계 최초 기관으로 인정된 것을 의미한다.

철도무선통신(LTE-R) 공인인증은 국토교통부 ‘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과 시행규칙에 따른 ‘철도노선 간 연계운행을 위한 철도시설 기술기준’ 등에 의해 철도무선통신시스템과 단말성능을 공식 인정하는 국가제도이다.

철도무선통신시스템과 단말이 서비스 요구 신호를 보낸 뒤 응답받기까지 접속시간 1초 이하 등 기술적 국제표준 요구사항 만족여부를 평가, 성능을 인증한다.

긴급 상황에서 그룹 내 인원 간 빠르고 끊김 없는 소통을 할 수 있는 고품질 서비스 제공에 대한 만족여부를 평가해 보증한다.

철도연이 발행하는 LTE-R 성능에 대한 국제공인인증서는 국제인정기구포럼(IAF:International Accreditation Forum)에 가입한 110여개 국가에서 재평가 없이 수용된다.

이에 따라 국내 기술이 해외로 진출할 때 중복시험을 치르는 시간과 비용 등을 절약하고 기술 유출 위험도 줄여 수출 경쟁력 확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철도연이 이번에 획득한 공인인증 범위는 LTE-R 시스템의 국제 철도표준 만족 및 안전대응성 등의 필수요소인 휴대단말과 차상단말 등이다.

기능에는 개별통화를 비롯한 그룹통화, 지역선택호출, 통화그룹편성 및 비상통화, 운영효율성을 위한 상황전파 메시지, 부가 기능인 음성 메시지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동안 국외 기술에 의존해 온 철도망 및 재난망 관련 핵심기술을 국내 정보통신(ICT) 기술을 통해 인증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철도무선통신(LTE-R) 분야 인증책임자인 송용수 책임연구원은 “4세대 기술인 LTE-R의 국제공인인증 자격을 바탕으로 전 세계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5세대 기술(5G)의 철도적용을 위한 국제표준화 및 공인평가자격 확대, 이를 통한 한국철도의 IT 주도권 강화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석윤 원장은 “철도선진국을 중심으로 철도안전 강화 및 철도기술에 대한 기득권 유지를 위해 선진그룹에 맞는 공인평가제도로 운용하고 있다”며 “국제표준에 따른 시험ㆍ검사ㆍ인증절차 강화를 확대, 국내 철도기업 기술보호 및 해외진출 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