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성인 된 다문화 2세대] 下. “한국 사람처럼 살기 보다는 자기계발로 내면 가꿔야 해요”
정치 성인 된 다문화 2세대

[성인 된 다문화 2세대] 下. “한국 사람처럼 살기 보다는 자기계발로 내면 가꿔야 해요”

다문화 2세  서현식 안양 YMCA 팀장 인터뷰

2일 오후 안양YMCA에서 서현식 시민사업부 팀장이 아이들과 체육활동을 하고 있다. 스리랑카 다문화 가정출신의 서씨는 아이들에게 '까만콩'이란 별명으로 불리며 사랑을 받고 있다. 윤원규기자
2일 오후 안양YMCA에서 서현식 시민사업부 팀장이 아이들과 체육활동을 하고 있다. 스리랑카 다문화 가정출신의 서씨는 아이들에게 '까만콩'이란 별명으로 불리며 사랑을 받고 있다. 윤원규기자

“피부색은 다르지만 마음을 열고 끊임없이 공통분모를 찾다 보니 진정한 한국인이 될 수 있었습니다”

3일 오후 1시 안양시 관양동 YMCA 사옥. 5살 어린이들과 체조를 마치고 나온 서현식씨(29)의 얼굴에는 미소가 넘쳐흘렀다. 마스크 너머 건물 밖까지 현식씨와 아이들의 유쾌한 웃음소리는 서로 어우러지며 새어 나왔다. 현식씨는 한국인 아버지와 스리랑카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다문화 2세다. 그는 유색인종이라는 이유만으로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편견과 맞서야 했다.

그는 “처음 한국에 왔을 때, 친구들이 마치 외계인 보듯 스리랑카어를 해달라며 쉬는 시간은 물론 하교 때까지 괴롭혔어요”라며 “그럴수록 다문화 2세라는 사실을 빨리 받아들이며, 제가 좋아하는 축구와 춤을 통해 친구들과 어울리며 다양한 활동도 시작했어요”라고 말했다.

2002년 스리랑카에서 한국으로 정착한 뒤, 그의 학창시절은 누구보다도 치열했다. 고등학교 3학년 때에는 도내 31개 시ㆍ군 고등학생이 참여하는 ‘경기도 차세대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이를 통해 청소년 문화부터 다문화 정책까지 다양한 의제를 놓고, 목소리를 냈다. 대학생 때에는 필리핀에서 봉사활동을 하며, 소외계층에 관심을 가졌다.

대학을 졸업한 뒤에는 안양 YMCA에 취직, ‘아기스포츠단’에서 아이들의 체육활동을 지도했다. 현재 ‘시민사업부’ 팀장으로, 지역발전을 위한 마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리 전통을 지키기 위한 ‘고추장 담그기’ 행사도 진행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비롯한 제도권 도움 없이 홀로 세상과 맞서면서 자신감을 찾은 것이다.

현식씨는 “저와 비슷한 환경에서 자란 다문화 2세 친구들도 한국 사람처럼 되고자 화장을 하기보다는 내면을 봐야 해요”라며 “센터도 저와 같은 다문화 2세 청년들이 내면을 끄집어내고 자기계발을 할 수 있도록 취업 프로그램이 보완됐으면 해요”라고 조언했다.

전문가는 현식씨와 같은 사례처럼 문화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적 인식 개선부터 첫 발을 떼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일반 센터에만 다문화 2세대의 관리 책임을 맡기는 것이 아니라 학교가 직접 나서 소통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영호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다문화 2세대를 위한 교사들의 인식 개선은 물론 학부모들끼리도 소통의 장이 마련돼야 한다”며 “센터 또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청년층도 참여할 수 있는 스타트업 취업 프로그램도 적극 개발해야 할 때”라고 했다.

이광희ㆍ손원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