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아름다운 이별을 위한 준비,양평 공설 화장장 건립] 下:안전을 담보할 최첨단 시설
지역사회 아름다운 이별을 위한 준비,양평 공설장사시설 건립

[아름다운 이별을 위한 준비,양평 공설 화장장 건립] 下:안전을 담보할 최첨단 시설

양평군은 공설장사시설 건립을 위해 주민들의 부정적인 여론을 불식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첫번째 쟁점은 안전성 확보다. 화장 때 발생하는 대기오염과 냄새문제 원천방지 여부는 최근의 관련 기술 발달에 달렸다.

군 관계자는 “최근에 지어진 다른 지자체 화장시설은 기술발달로 무연ㆍ무취에 완전연소를 달성하고 있어 최첨단 시설을 도입하면 대기오염이나 냄새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두번째 쟁점은 부정적인 이미지다. 이를 위해 휴식과 추모시설이 결합한 형태의 공원화를 추진 중이다. 유족들만 찾는 공간이 아니라 주민들이 휴식과 산책, 사색 등을 위해 찾는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군 관계자는 “벤치마킹을 위해 방문했던 세종시 은하수공원은 장례를 치르는 동안에도 지역축제가 열리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세종시 은하수공원은 넓은 잔디광장과 조경과 식재 등을 통해 공원화됐고 서울추모공원도 건물 대부분을 지하화, 자연친화적인 경관을 추구하면서 갤러리와 문화활동 등도 수시로 열리고 있다.

군도 공설장사시설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자연경관과 어우러져 주민들이 찾고 싶어 하는 공원이나 휴식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 중이다.

해외 사례들도 연구 중이다.

1900년대 초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 건립된 스코그쉬르코고르덴(Skogskyrkogarden:숲속의 묘지)이 대표적이다. 일명 우드랜드라고도 불리는 스코그쉬르코고르덴은 자연경관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본연의 기능과 예술성을 잃지 않은 묘지공원이라는 평가를 받아 지난 199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스톡홀름 시의회는 1912년 천편일률적인 묘지시설을 탈피하고자 대규모 국제공모전을 열어 건축설계 공모를 진행했다.

세번째 쟁점은 반대를 극복하는 공직자의 자세다. 군은 ‘인내심을 갖고 주민들과 끊임없는 대화에 나서겠다’는 각오다.

지난 2011년 12월14일 14년 만에 완공된 서울 서초구 장지동 서울추모공원 준공식장에는 지역주민들이 초청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항의로 준공식장은 소란해졌다. 당시 박원순 시장이 현지 주민들에 대한 자리를 미리 준비하지 못한 점을 공식 사과한 이후에야 소란은 진정됐다. 군 관계자는 이 같은 사례를 예로 들면서 반대를 공감으로 극복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양평 전체를 위해 공설장사시설 유치를 결정한 지역주민들에게 그에 걸맞은 예우와 세심한 배려에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동균 군수는 “화장장은 지역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시설이지만 섣불리 추진하기도 어려운 시설이다. 관 주도가 아니라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방법으로 모든 것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토론하며 추진하겠다. 삶이 존엄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지역주민 여러분의 관심과 의견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양평=장세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