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지선, 이하 사업회)는 3일 ‘촛불혁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민주주의’를 주제로 서울글로벌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촛불혁명 4주년 학술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 1부에선 이영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부소장 사회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어디로 가야 하는가’를 탐구하는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전임연구원의 주제발표에 이어 홍성수 숙명여대 교수가 ‘코로나 시대의 차별과 혐오’를 발표했다.
김용규 부산대 교수와 오건호 내가 만드는복지국가 공동운영위원장, 주윤석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박사의 토론도 이어졌다.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4명의 패널과 함께 라운드 테이블을 진행한 토론회는 천정환 성균관대 교수, 손우정 성공회대 연구위원, 김종민 청년전태일 대표, 이서영 작가 등과 함께 촛불혁명 이후 K-민주주의와 문화정치, 세대갈등과 불공정 담론, 청년 불평등 문제, 촛불 이후의 젠더 이슈 등 다양한 주제를 놓고 의견들을 나눴다.
이승원 박사는 주제발표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어디로 가야 하는가’를 통해 현재 처해 있는 한국 민주주의의 근본적 위기를 정당정치와 대의제 위기와 금융자본 중심의 과두제 위기 등으로 진단하고 대안으로 정치 복원과 시민주도 정치의 재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특히 시민주도 정치의 재활성화방안에 대해선 21세기 한국사회 현실을 투영한 민주주의 담론의 과감한 생산, 실천적 집단지성의 개방ㆍ민주적 향상, 자유로운 개인의 재탄생 등을 주창했다.
‘코로나 시대의 차별과 혐오’를 맡은 홍성수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우리 사회에 혐오가 광범위하게 확산하며 소수자에 대한 편견, 차별, 폭력 등이 본격화됐다고 진단했다. 혐오 확산의 이유를 경제적 원인과 사회적 불평등에서 찾고 차별과 혐오를 넘은 포용과 연대, 평등의 정신회복 등을 대책으로 제시했다.
지선 이사장은 “코로나시대를 맞아 사회 곳곳에서 민주주의의 위기가 감지되고 있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4차 산업혁명과 신성장 동력의 창출, 보편적 복지의 확충 등과 함께 필연적으로 민주주의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올 것”이라며 “오늘의 자리가 그 대안을 모색하는 공론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