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은 전담 연구조직인 철도안전연구센터를 신설했다고 21일 밝혔다.
철도교통의 안전성 향상과 국가 철도안전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조직은 철도안전혁신연구팀, 중대사고대응기술연구팀, 안전표준연구팀 등으로 구성됐다.
철도안전혁신연구팀은 사전예방적 철도안전감시시스템 구축, 철도시스템 위험도 평가 등에 관한 연구와 정부의 철도안전정책 기획ㆍ시행 지원, 철도안전분야 국제협력활동 등을 담당한다.
중대사고대응기술연구팀은 중대 사고 방지와 피해 저감 연구 등을 수행한다.
안전표준연구팀은 철도표준규격 연구와 국제화 등을 진행한다.
특히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제3차 철도안전종합계획 수정계획 이행을 위한 철도안전 정책과 제도개선, 철도안전 연구와 기술개발, 위기대응체계 개선, 4차산업 혁명기술을 적용한 철도 안전관리 첨단화ㆍ과학화 등을 수행한다.
국토부 주관으로 내년 열리는 철도안전분야 국제학술행사인 국제철도안전협의회(IRSC:International Railway Safety Council)도 총괄 진행한다. 한국의 철도안전과 기술 우수성을 알리고 국내 철도기술의 국제적 영향력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발표한 제3차 철도안전종합계획 수정계획은 ‘국민이 신뢰하는 사람 중심의 철도안전시스템 구현’을 위한 정책으로 오는 2022년까지 대형철도사고 제로화와 철도사고ㆍ사상자 50% 감소 등이 목표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철도 안전연구ㆍ정책지원기능을 확대, 국내 철도 안전성을 높이고 DNA(Data·Network·AI) 기반의 철도안전기술 개발, 철도교통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와 안전망 강화 등을 통해 한국판 뉴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