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나희승, 이하 철도연)이 세계 최초로 교량용 급속경화 궤도기술을 개발했다.
철도연은 새로 개발한 ‘교량용 급속경화 궤도공법’이 교통 신기술(제49호, 국토교통부)로 지정됐다고 4일 밝혔다.
급속경화 궤도 공법은 노후화된 자갈 궤도를 콘크리트 궤도로 전환하는 궤도개량기술로 자갈 사이의 공간을 초속경 시멘트로 채워 자갈층을 콘크리트 층으로 바꾸는 방식이다. 이 공법은 작업시간이 짧고 시공 1시간 이후부터 열차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확보,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심야시간을 이용해 열차운행을 제한하지 않고도 공사가 가능하다.
특히, 교량 상부구조물과 궤도를 급속하게 일체화하면서 온도변화로 인한 구조물의 변형과 균열 발생 등을 해결해 터널과 토공구간은 물론 교량까지 궤도개량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그동안 열차의 고속화와 고밀화로 인해 자갈 궤도가 급격히 노후화되면서 유지보수비용 증가와 안전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신기술 개발로 노후화된 자갈 궤도구간을 근본적으로 개선해 유지보수 효율화 및 비용 저감, 열차 주행 안정성을 높였다. 다양한 곡선 반경과 주행 속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일반철도는 물론 시속 300㎞ 이상 고속철도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철도개량이 필요한 개발도상국 등 해외철도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