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떠나는 학생들] 3. 전문가들 의견

“교육환경 개선·공교육 강화… 타지行 학생 발길 잡아야”

인천시교육청이 교육 인프라 다양화에 손을 놓은 것에 대해 교육 전문가들은 수요 기반의 교육환경 개선과 공교육 강화의 시급성을 강조한다.

다양한 교육 분야 시설을 공급하고, 학생들을 유입할 수 있는 인천 특유의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인천시교육청이 다양한 교육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배은주 인천연구원 연구실장은 인천지역 교육환경을 개선해 ‘인천은 교육이 부실한 곳’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인천의 교육환경에 변화가 없다 보니 교육 여건이 안 좋다는 인식이 생긴 상황”이라며 “예술중 등 원하는 학교가 없어 각자 여건에 따라 가까운 수도권으로 떠날 수밖에 없다”이라고 했다.

이 같은 인식을 바꾸기 위한 1차적인 방법은 교육 인프라에 대한 투자다.

배 연구실장은 “인천의 교육기반이 갖춰지지 않은 채 교통이 발달할수록 인천은 어쩔 수 없이 서울의 위성도시가 될 것”이라고 했다.

박철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도 “인천은 특수란 목적의 고등학교 등이 약한 지역”이라며 “기본적으로 이런 시설을 확충하지 않으면 학생과 학부모는 조금이라도 교육환경이 좋은 곳을 찾아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교육 기반 구축과 더불어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방안은 ‘인천형 공교육’이다.

부족한 학교 수를 채우는 것 만큼이나 공교육에서 다채로운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장인실 경인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어느 지역의 학교가 학생을 유입할 프로그램을 갖추느냐가 곧 교육분야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며 “물리적으로 부족한 학교수를 단번에 채우기가 쉽지 않은 만큼, 공교육 다양화도 좋은 대안일 수 있다”고 했다.

이를 위해 시교육청 차원에서 개별 학교의 자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장 교수는 “학교마다 정체성을 가지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교가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고민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시교육청 차원에서 학교별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프로그램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기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창의성영재교육전공 교수도 “시교육청이 지역간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해 얼마나 많이 노력했는지 고민해봐야한다”고 했다.

이어 “학생과 학부모가 교육이 우수한 곳을 찾아 이동하는 상황에서, ‘이들을 끌어들일 만큼 인천의 교육이 매력있는가’에 대한 대답이 곧 해결책일 것”이라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