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에 조성된 도시공원의 노후도를 평가하는 기준을 세우고, 이에 따른 종합적인 관리기본계획과 재생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29일 시에 따르면 시는 이날 수원시정연구원이 수행한 ‘수원시 노후도시공원 재생방안 연구’ 최종보고회를 진행했다. 이 연구에는 수원시 노후도시공원의 현황을 진단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장안구 노후도시공원 사례를 활용해 도시공원의 효율적인 관리방안과 재생방안을 제시하는 내용이 담겼다.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지난해 10월 말 기준으로 수원에는 소공원 30개소, 어린이공원 203개소, 근린공원 72개소 등 생활권 공원과 역사공원 1개소, 문화공원 6개소, 수변공원 11개소, 체육공원 2개소 등 주제공원이 조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공원 개소 기준으로는 전체 62%가 어린이 공원, 면적 기준으로는 근린공원이 84% 이상 차지했다. 도시공원의 조성시기는 1995~1999년과 2007~2008년 집중됐으며, 택지개발사업 추진 과정에서 조성된 공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가운데 연구에서는 이 같은 현황을 바탕으로 노후도시공원 진단 평가방식을 구체화했다. 조성연도 20년 이상의 도시공원을 평가 대상으로 전제하고, 생태와 시설물의 노후도를 평가하는 기능성 평가와 민원 등을 체계화한 만족도 평가, 주변 인구와 타 시설 여부 등에 따른 공원 서비스 평가까지 제안했다.
이 같은 평가 방식을 장안구 노후도시공원에 시범평가로 적용해 공원의 노후도를 ▲일반관리(노후 시설들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단계) ▲관리강화(시설물 교체 등 일부 보수가 필요한 관리대상이 발견된 경우) ▲부분재생(공간구조 개선 등이 필요한 경우) ▲전체재생(전반적 기능이 저하돼 공원 전체 리모델링이 필요한 경우) 등 4단계로 구분했다.
최광열 수원시 공원녹지사업소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관리되는 공원 제공을 장려하고 노후공원의 정비체계를 마련해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