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례시 도입’ 최일선 활약… 선 굵은 의정 눈길
“긴축재정 탓에 시민 행복지수와 삶의 질과 직결된 사업 예산이 줄어 아쉬울 따름입니다.”
제11대 수원시의회(전반기)에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명규 의원(민주당ㆍ정자1ㆍ2ㆍ3동)은 올 한 해 초선 의원답지 않게 선 굵은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다. 박 의원은 수원시 노동정책과 신설, 일자리 정책, 이동노동자 편익 증진 등에 일조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를 거두는 등 수원시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박 의원은 “시민들이 살면서 불편했던 것들을 하나씩 개선하고 있다”며 “올해는 몇 가지 성과를 이끌어 낸 것도 있었지만, 단기ㆍ중기ㆍ장기 계획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삼성전자 등 반도체 기업의 실적 부진으로 세수가 급감해 내년도 허리띠를 졸라맨 수원시의 예산안을 놓고, 아쉬움을 전했다. 박 의원은 “긴축재정에 돌입하다 보니 시민들이 참여하는 사업도 삭감이라는 ‘칼바람’을 피해가지 못했다”면서 “늦출 수 있거나 지금 당장 필요하지 않은 사업을 뒤로 미뤘어야 했다”고 설명했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과 더불어 수원특례시추진특별위원회 부위원장도 겸하고 있는 박 의원은 시의원으로 출마하면서 자신의 제1호 공약인 ‘특례시 지정’에도 남다른 애정을 보였다. 그는 “자치분권에서 제일 필요한 게 특례시 도입”이라며 “인구가 120만 명이 넘는 수원시가 광역시 수준임에도 10만 도시와 똑같은 규제가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현재 수원시 일자리 정책에 대해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공공에서 창출되는 일자리 상당수가 단순 근로 작업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원시에서 공공의 일자리를 만들고 있는데, 사실 일자리는 민간 영역에서 만들어져야 한다”며 “단순 일자리는 의미 없으며, 지자체에서 기업을 지원해 그 기업이 성장하고 지역민을 고용하는 선순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1년 동안 수원시의 ‘예산 수문장’ 역할과 특례시 도입 최일선에서 묵묵히 일한 박 의원은 앞으로 “시민들이 살면서 불편했던, 불합리했던 것들을 개선하고 싶다”는 포부를 전했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