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ㆍ중국전 3골 모두 세트피스 상황서 이뤄져 필드골 부재 아쉬움
한국 축구대표팀 벤투호가 약점으로 지적된 필드골 부재의 아쉬움을 극복하고 2019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에서 대회 3연패를 이룰 수 있을지 관심사다.
파울루 벤투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대표팀은 15일 밤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남자부 풀리그 2차전에서 김민재(베이징 궈안)의 헤딩 결승골을 앞세워 2지급이 출전한 중국에 1대0으로 승리했다.
한국은 홍콩과의 1차전(2-0 승)을 시작으로 2연승을 내달리며 오는 18일 일본과의 최종전에서 대회 3연패 달성에 도전하게 됐다.
손흥민(토트넘), 황의조(보르도), 황희찬(잘츠부르크) 등 유럽파가 제외된 벤투호는 이번 대회에서 세트피스의 정교함을 높이며 다양한 득점 루트를 만들어냈다.
한국은 ‘전원 수비’ 전술로 무장한 홍콩전에서 황인범(밴쿠버)의 프리킥 골과 나상호(FC도쿄)의 코너킥 헤딩골로 2골을 뽑아냈다.
홍콩의 밀집 수비로 공간 창출의 어려움을 겪은 대표팀은 세트피스를 활용해 무난한 승리를 따냈다.
이어진 중국과 2차전 역시 주세종(서울)의 왼쪽 코너킥을 ‘골 넣은 수비수’ 김민재가 머리로 마무리해 대표팀의 1골 차 승리를 견인했다.
벤투호는 사전에 준비된 세트피스 전술로 3골을 뽑아내며 소기의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중국전에서는 코너킥 상황에서는 이영재(강원)와 주세종이 나란히 키커로 투입되는 다소 독특한 세트피스 형태를 선보이며 상대 수비진을 교란했다.
상대 수비진형을 파악한 후 우리 공격진의 형태에 맞게 이영재가 왼발로 주세종은 오른발로 코너킥을 찼다.
다만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세트피스 성공률은 높아졌지만 후방 빌드업을 통한 필드골은 여전히 터지지 않고 있다.
대표팀으로서는 손흥민, 황의조, 황희찬 등 유럽파 공격수들이 제외돼 공격진의 무게감이 떨어진 데다 국내파 공격수들의 마무리 능력 부재도 아쉽기만 하다.
대표팀은 중국전에서 황인범과 나상호가 기회를 엿봤지만 좀처럼 득점으로 마무리짓지 못하며 필드골을 가동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번 대회서 3연패에 도전하는 벤투호로선 18일 일본과의 최종전을 앞두고 국내파로 꾸려진 골잡이들의 유기적인 움직임을 통해 필드골 마무리 능력을 끌어올리는 게 지상과제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